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 SK텔레콤이 열차 자율주행에 필요한 저지연 통신 검증에 성공했다.
[변윤재 기자] 24일 SK텔레콤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의 5세대(5G) 차상통신장치에 5G 에지 클라우드와 5G 품질 최적화 기술을 적용, 저지연 통신 테스트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5G 차상통신장치는 열차 자율주행 핵심기술이다. 열차 스스로 주행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열차간 운행정보를 실시간 송수신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저지연 통신이 필요하다.
철도연은 저지연 통신의 철도 이용을 위해 5G 차상통신장치를 개발한 뒤 이를 활용한 열차간 저지연 통신 기능을 SK텔레콤의 5G 에지 클라우드에 구현했다.
SK텔레콤과 철도연은 충북 오송에 위치한 철도연 철도종합시험선로에서 열차의 자율주행 통신 상황을 구현해 열차 자율주행에 필요한 열차간 저지연 데이터 송수신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SK텔레콤의 5G 에지 클라우드를 적용할 경우, 일반 클라우드와 비교해 열차간 통신 지연이 약 2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율주행에 필요한 종단간 서비스 지연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오송역 부근 5G 기지국에 지연 품질 최적화 기술을 추가적으로 적용했더니 지연시간이 기존 대비 약 50% 단축되는 게 확인됐다. 이는 일반 클라우드에서 어려웠던 지연 시간 목표를 99.9% 만족, 자율주행 현실화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5G 에지 클라우드는 5G와 클라우드가 만나는 최단 경로에 위치해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 시킨다”며 ”자율주행 등 신뢰성이 필요한 초저지연 서비스가 가능함을 실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향후 자율주행 기술이 필요한 분야에서 기술 검증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김명국 클라우드 사업 담당은 “앞으로도 열차, 차량, 선박, 로봇 등 자율주행 기술 도입에 필수적인 통신과 에지 클라우드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국내외 파트너사들과 협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팁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