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 SK텔레콤이 스마트폰 앱으로 맨홀 사고 위험요인을 확인할 수 있는 안전관리 솔루션을 개발했다. SK텔레콤은 현장 작업자와 보행자의 안전을 이 솔루션을 활용해 안전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변윤재 기자] 30일 SK텔레콤은 맨홀 안전관리 솔루션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맨홀 아래 유해가스 농도나 온·습도, 침수·뚜껑 열림 여부처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위험요인을 ICT 기술로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작업자가 굴착 작업 없이 지하에 매설된 관로나 하수도 등을 관리할 수 있게 돕지만, 오래 밀폐된 맨홀의 경우 내부 유해가스 농도가 높아 작업자의 질식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며 ”침수나 화재 사고가 발생하거나, 맨홀 아래로 사람이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평상시 맨홀 안전 관리가 중요하기에 현장 작업자와 보행자를 위협하는 요인들을 스마트폰 앱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SK텔레콤은 안전관리 솔루션을 적용하기 위해 지난 4월 시범사업을 통해 통신 맨홀 규격과 설치 환경에 맞게 솔루션을 최적화한 뒤 올해 하반기부터 가스 발생이 의심되는 지역, 깊이가 깊고 평상시 작업량이 많은 맨홀, 구(舊)도심지 맨홀, 주요 통신시설 인근의 맨홀 등 100개소에 확대 적용했다. 또 맨홀 안전관리 솔루션을 통해 유해가스 발생 추이를 지속 모니터링하고, 현장 작업자들이 맨홀 내부 환경을 미리 확인하는 프로세스도 정립했다.

맨홀 안전관리 솔루션에는 SK텔레콤의 인공지능(AI)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인 탱고,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SK쉴더스의 지능형 융합보안 플랫폼인 써미츠, IoT 전문 기업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의 센서 기술이 적용됐다.
탱고는 빅데이터 분석과 머신 러닝을 기반으로 각 맨홀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받은 상태 정보를 분석해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이렇게 수집한 정보는 스마트폰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스템에 축적된 데이터는 SK쉴더스의 써미츠의 AI 기반 정보분석과 연동해 상황별 대응 능력을 높이는데 활용된다. 다양한 IoT 센서를 활용하는 만큼 산업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위험 상황에 즉각 대응이 가능하다. 집중호우 기간이나 유해가스 발생이 우려되는 시기에 이를 기반으로 작업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SK텔레콤은 현장 작업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유해가스 위험도가 높은 지역, 하천 주변, 저지대에 위치한 맨홀 위주로 솔루션을 지속 확대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또 보행자의 추락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맨홀 뚜껑이 열려 있거나 유실되지 않았는지 점검해 사회 안전망 강화에도 기여해 나갈 예정이다.
강종렬 ICT 인프라담당은 “인프라 관리에 힘쓰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지키고 침수나 화재 등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기술”이라며 “통신 인프라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첨단 ICT 기반의 운용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