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박민석 기자] SK텔레콤이 신재생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과 같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그린 AI 기술 개발에 앞장선다.
[박민석 기자] SK텔레콤은 SK에너지, 한국전기연구원, 식스티헤르츠, 소프트베리와 함께 미래 가상발전소(VPP)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28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이번 협약을 통해 가상 발전소 기술의 핵심 영역인 신재생 에너지 발전 및 전기차 충전 수요 예측,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최적 제어,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기반 전력 거래 분야에서 공동 기술 개발에 나선다.
VPP는 개인이나 사업자가 각 지역에서 태양광이나 풍력 등을 활용해 소규모로 생산 신재생 에너지를 플랫폼으로 연결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통합 관리하는 개념의 가상의 시스템이다.
SK텔레콤은 인공지능 등 ICT 기술을 활용해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과 전력 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맞게 전력을 생산, 저장, 거래하는 최적화된 가상 발전소를 만들 계획이다.
또한 이번 가상 발전소를 시작으로 넷제로 달성을 위해 다양한 그린 ICT 영역으로 기술 개발을 확대해 나간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늘어나는 전력 소모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그린 AI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VPP를 시작으로 통신국사 에너지 최적 제어 기술, 다회용컵 반납을 위한 비전 AI 등 다양한 그린 AI 기술을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각종 서버 및 장비의 가동으로 대규모 전력을 사용하는 통신국사나 데이터센터(IDC)에도 그린 ICT 기술을 활용한다. 이 솔루션을 통해 통신국사 및 데이터 센터에 대규모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전력 소모와 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을 절감한다.
또한 SK텔레콤의 다회용 컵 사용 캠페인 ‘해피해빗’을 위해 도입된 반납기에도 인공지능이 인식해 회수하는 ‘비전 AI’ 기술이 적용됐다.
컵이 반납되면 반납기 내부에서는 카메라가 컵 외관을 촬영한 뒤 비전 AI 기반으로 이물질, 파손, 정품 여부 등을 판정한다. SK텔레콤은 이 같은 '해피해빗’ 캠페인을 통해 인 일회용 컵 약 460만 개를 줄이는 등 탄소 배출 감축에 나서고 있다.
이종민 SKT 미래 R&D 담당은 “미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KT의 ICT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다양한 파트너들과 협력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 무료 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