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 네이버가 인공지능(AI)·검색 분야에서 젊은 석학들을 영입했다. 커머스·콘텐츠 등에서의 개인화 서비스 고도화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향후 AI 서비스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다는 구상이다.
[변윤재 기자] 네이버는 최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의 김윤형 교수와 럿거스대학의 칼 스트라토스(이장선) 교수를 네이버 스칼라로 영입했다고 24일 밝혔다.
네이버 스칼라는 개방형 혁신 시스템을 통해 개발 과정에서의 몰입도와 유연성을 보장하는 제도다. 미국·유럽 등에서 활동하는 교수와 연구원들이 소속기관에 재직하면서, 네이버 검색의 미국 내 AI 센터인 네이버리서치US에서 차세대 AI 기술과 검색 서비스 개발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네이버 스칼라로 영입된 두 사람은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내며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석학들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오랫동안 영입에 공 들인 결과, 이번에 네이버 합류를 결정했다”며 “아마존 알렉사 AI 핵심기술 개발을 총괄했던 김용범 책임리더와 함께 차세대 AI 검색 기술을 네이버 서비스에 접목시키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윤형 교수는 하버드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으로 박사학위 취득 후, 현재 미 MIT에서 조교수로 재직중이다. 지난 2014년 딥러닝 기술의 일환인 컨볼루션 신경망(CNN)기술을 자연어처리(NLP) 분야에 적용한 논문을 단독으로 발표하며 학계와 AI업계로부터 주목받았다. 해당 논문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1만2000여건 이상 인용됐다. 특히 김 교수가 발표한 캐릭터 어웨어(Character-Aware) 언어모델과 오픈NMT 기계번역 연구는 업계에서도 널리 사용되며 딥러닝 분야의 연구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칼 스크라토스(이장선) 교수 역시 손꼽히는 AI 분야 전문가다. 콜롬비아대학교 컴퓨터과학 박사 출신의 칼 교수는 현재 럿거스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며 비지도 학습방법 및 지식사용 모델 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ACL, ENMLP, NAACL 등 세계적인 자연어처리 분야 학회에서 머신러닝 분야 위원장을 맡았다. 블룸버그 자연어처리(NLP) 연구팀에서 자연어이해(NLU)서비스에 최첨단 딥러닝 기술 도입을 총괄하며 실무경험까지 보유했다.
칼 교수는 정보이론의 기반인 상호의존정보의 통계적 이론을 재정립, 정보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수많은 AI 연구 방법론의 근본적인 방향성을 바꾸는 성과를 냈다. 이를 인정받아 구글 패컬티 리서치 어워드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두 교수는 네이버리서치US에서 AI 기술개발을 관장하는 김용범 책임리더와 함께 관련 기술 고도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 책임리더는 마이크로소프트 코타나와 아마존 알렉사의 AI 핵심기술 개발을 총괄한 대화형 AI 분야 전문가다. 네이버는 최근 큐레이션 기능을 강화하며 개인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만큼, 이용자 경험 혁신을 위한 개인화 고도화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전략 팁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