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전략 김병주 기자] 은행권을 향한 전방위적인 대출 관리 기조가 중소‧혁신기업의 마중물 공급에도 영향을 미쳤다. 은행권에서 공시하는 기술신용대출 잔액, 공급건수, 신규 공급량 모두 최근 1년 사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기 때문.
특히, 이 같은 수치가 금융당국의 대출 관리 강화가 본격화되기 이전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하반기까지 중소‧혁신기업 유동성 공급은 더욱 위축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상반기 증가분 반납한 기술신용대출
1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국내 은행권에서 공급한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303조3725억원으로 전월(306조1561억원) 잔액 대비 2조8000억원 가량 감소했다. 이는 월별 기준, 최근 1년 사이 가장 적은 공급 잔액량 기록이다.
공급건수도 줄었다. 지난 7월 기준 기술신용대출 공급건수는 69만4719건을 기록했는데, 공급건수가 60만대로 하락한 것 또한 최근 1년 사이 처음이다.
기술신용대출이란 유형의 담보가 없지만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혁신기업을 대상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금융상품이다. 특히 기술력과 같은 ‘무형’의 담보를 기반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특성상, 초기 기업들의 마중물로 주요 이용됐다.
다만, 고금리 기조로 대출 창구를 찾지 않는 중소‧혁신 기업 차주들이 늘어나면서 기술신용대출의 공급도 다소 위축됐다.
기술신용대출의 경우 기존 은행권 중소기업 대출 대비, 최대 1%p 가량 낮은 금리를 지원한다. 다만, 중소기업 대출 금리가 연 7~8% 수준까지 오르면서 이자 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기업이 늘어났고 이는 자연스레 대출 공급 축소로 까지 이어진 것이다.
다만 올 초를 기점으로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증가세로 전환됐다. 은행권을 향한 상생 압박, 여기에 전략적으로 기업 여신을 늘리려는 은행권의 니즈가 맞아 떨어진 덕분이었다.
실제 지난 상반기까지만 해도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309조원까지 늘었는데, 이는 연초(306조1000억원) 대비 3조원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다만 지난 7월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전월 대비 2조8000억원 감소했다. 사실상 올 초부터 6개월간 늘어난 증가분을 한 달 사이 대부분 반납한 셈이다.
이같은 흐름을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는 지표가 바로 실제 신규공급액을 의미하는 ‘평가액’의 흐름이다. 지난 7월 기준 기술신용대출 평가액, 즉 공급액은 230조168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9월(230조3799억원) 이후 10개월 사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시중은행도 못 피한 ‘마중물 위축’
이러한 기술 마중물 공급 위축은 전체 대출 공급량의 절반 가까운 비중을 담당하는 국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으로 비교 범위를 좁혀보면 더 확연해진다. 쪼그라드는 가계대출을 상쇄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기업대출에 영업력을 집중했지만, 정작 실질적으로 유동성이 필요한 중소‧혁신 기업에는 자금 공급이 위축됐다는 것이다.
실제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4대 시중은행의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147조4318억원이다. 이는 전월(149조4246억원) 대비 2조원 가까이 감소한 규모다. 공급 건수도 같은 기간 32만2482건에서 31만6914건으로 한달 새 5500여건 가량 줄었다.
비교 시점을 1년 전으로 되돌리면 격차는 더욱 벌어진다. 지난해 7월 기준 4대 은행의 기술신용대출 공급잔액은 152조9232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7월 잔액(147조4000억원)과 비교하면 1년 사이 3.6%가량 줄어든 셈이다. 공급 건수도 37만1221건에서 31만6000여건으로 14.8% 감소했다.
각 사별로 살펴보면 지난 1년 사이 가장 큰 폭으로 기술신용대출 잔액이 감소한 곳은 KB국민은행이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7월 38조1331억원에서 올해 7월 32조2885억원으로 일년 새 15.3% 줄었다. 신한은행(43조2000억원→42조8000억원), 하나은행(34조7000억원→34조5000억원)도 나란히 2000억~4000억원 원 가량 공급잔액이소했다.
반면, 우리은행은 4대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지난 일년 사이 기술신용대출 잔액이 소폭이나마 증가(36조8733억 원→37조7614억원)했다.
물론 주요 시중은행의 경우, 매월 공급잔액과 공급건수 변동이 심해 단순히 특정 시점 기준으로만 실적을 평가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다. 그럼에도 한때 공급량이 182조원(2022년 10월 기준)까지 증가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반적인 감소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특히 올해 들어 매월 6조~8조원씩 기업대출이 급증해왔다는 점과 비교해도 중소‧혁신 기업 대상 마중물 공급량은 다소 아쉬운 수준이다.

공급 정체, 당분간 유지될까
업계에서는 이러한 기술금융 공급 흐름이 당분간 정체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방위적인 가계대출 축소 기류가 기업대출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국내 5대 시중은행 기업대출 잔액은 822조9000억원으로 전월(818조4000억원) 대비 4조5000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평균 6조~8조원 가량 늘어나던 이전 흐름 대비 한풀 꺾인 수준이다.
이는 가계대출뿐 아니라 경기침체로 인해 기업대출 건전성 우려가 커지면서 은행권에서도 기업대출을 신용도가 높은 소위 ‘우량기업’ 위주로 취급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7월이 정부 주도의 기술금융대출 공급 확대 조치가 시행된 첫 달이었음에도 공급량이 줄어들었다는 점은 눈길을 끈다.
7월부터 시작된 ‘기술금융 개선방안’을 통해 기술신용대출의 금리 및 한도 경쟁력은 기존 중소기업 대출 대비 한층 강화됐다. 특히 기술신용대출 공급 규모에 따라 은행권에도 정책금융 공급 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소위 ‘당근책’도 본격 시행되고 있다.
다만, 은행권에서는 해당 조치 시행 첫 달이라는 점에서 실질적인 효과가 발현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설명한다. 특히 최근 전반적인 대출시장의 위축이 기업대출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대출 창구를 찾는 중소기업의 숫자도 다소 감소했다는 것이 은행권의 설명이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특히, 이번 조치로 비(非)기술기업 대상 기술금융 공급이 차단되는 등, 실제 공급 규모 측면에서 소위 ‘꼼수 공급’이 사라진 것 또한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것”이라며 “향후 제도가 안착할수록 기술신용대출 공급량도 기대만큼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전략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