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황재희 기자] CJ제일제당이 친환경 해양 생분해 소재 PHA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련 산학연 협의체에 참여했다고 30일 밝혔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전략 팁 황재희 기자] CJ제일제당은 생분해 소재 관련 산학연 협의체인 '강소연구개발특구 바이오 플라스틱 미래테크 포럼'을 통해 PHA 관련 연구개발과 실증 실험을 확대하고 다양한 제품 개발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PHA는 기존의 석유화학 원료인 플라스틱과 달리 바닷물에서 생분해되는 친환경 소재로 바이오플라스틱 생산 등에 활용된다. CJ제일제당은 지난 5월 인도네시아 현지 공장에서 PHA 생산을 시작했으며 생분해 소재 전문브랜드인 '팩트'도 론칭했다.
지난 29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포럼 출범식에는 CJ제일제당 외에 SKC, HDC현대EP, BGF에코바이오 등 국내기업들과 네이처웍스, 토탈코비온 등 해외 바이오 소재 기업이 참여했다. CJ제일제당과 해당 기업들은 △생분해 소재 기술 검증 △생분해 소재의 전주기(생산사용처리) 공동지원체계 구축 △중소기업 대상 R&D 및 실증 사업 지원 등에 주력하고, 생분해 소재 활성화를 위한 관련 제도 개선 및 정책 제언에도 나서기로 했다.
이번 산학연 협의체 출범을 계기로 기업들이 규제 특례 구역 안에서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설에 생분해 소재를 투입해 실제 퇴비화 여부를 확인하고 별도의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기존에는 플라스틱 분리 배출 및 재활용 체계상 생분해 소재의 퇴비화 검증이 어려웠다.
한편 과기부 산하 기관 등을 통해 생분해 소재 분해 과정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의 에너지화 실험이 가능해지면서 또 다른 부가가치를 만드는 성과도 기대되고 있다. 식당이나 커피전문점, 영화관 등 폐기물을 쉽게 분리배출 할 수 있는 사업장에서 생분해 소재 폐기물을 따로 모아 메탄 가스를 필요로 하는 시설에 판매하는 방식도 고려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전세계 생분해 플라스틱 시장 규모는 작년 약 5조원에서 오는 2025년 약 16조원 규모가 성장할 전망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현재 인도 공장의 PHA 연간 생산규모는 5000톤으로 2025년까지 6만5000톤으로 늘릴 계획"이라며 "올해 유한킴벌리를 비롯해 글로벌 기업들과 함께 생분해 소재 확대에 나선만큼 다양한 제품 개발로 생활속 생분해 소재의 사용 범위를 넓혀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전략 팁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