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비디오 슬롯머신 무료게임 황유하 기자] 최근 국세청이 외국납부세액 공제 방식을 개편하면서 대부분의 해외 ETF 분배금 과세 이연 효과가 사라졌다. 이에 따라 상당수 배당투자자들이 국내 배당ETF로 이동하는 모습이다. 한화자산운용의 PLUS 고배당주 ETF에도 자금이 집중되고 있다.
6일한국거래소에 따르면 'PLUS 고배당주' ETF는 지난 2일 종가 기준 순자산총액 6043억원을 기록했다.연초 이후 개인순매수 1301억원을 기록하는 등 유의미한 자금 유입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한화자산운용은 최근 외국납부세액 공제 방식이 개편돼 국내 배당 ETF의 매력도가 해외 배당 ETF 대비 높아진 것이 'PLUS 고배당주' ETF의 자금 유입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국세청은 절세 계좌에서 해외 펀드·ETF의 분배금에 대한 세금을 먼저 환급해 준 후 나중에 원천징수했다. 그러나 최근 제도 개편 후엔 세금을 먼저 징수하고 이후에 정산하면서 대부분의 해외 펀드·ETF의 분배금 과세 이연 효과가 사라졌다.
반면 국내 배당 ETF는 여전히 절세 계좌에서 분배금에 대한 과세 이연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 밖에도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투자자의 안정적인 수익 수요, 주주총회 이후로 지정된 정부의 배당선진화제도 도입 등 밸류업 정책, 기업들의 자발적인 주주환원 정책 강화 등 다양한 변화가 맞물리면서 국내 배당주에 대한 관심은 점점 커지는 추세다.
'PLUS고배당주'는 국내주식 투자 배당 ETF 중 최대 규모로 매월 주당 63원의 분배금을 지급하고 있다. 은퇴 생활자나 생활비의 일정 부분을 분배금으로 마련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에게 예측 가능한 분배금 수익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다.
분배금 재투자를 감안한 'PLUS고배당주'의 기간별 수익률 성과는 지난 2일 기준 연초 이후 4%, 최근 1년 16.6%, 3년 37.4%, 2012년 8월29일 상장 이후 138.3%를 기록하고 있다. 같은 기간 '코스피200'지수의 성과를 큰 폭으로 상회하고 있다.
금정섭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두드러지는 성장주가 줄어드는 국내 시장에서 주목할 것은 배당주”라며 “외국 납부 세액 공제 방식 개편, 고령화 사회, 밸류업 등 조건들이 배당주의 수익률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 본부장은 앞으로 국내 기업들의 주주환원 정책이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앞으로 국내 기업들이 더욱 경쟁적으로 배당을 늘릴 가능성이 있다"며 "국내 시장의 성장이 정체되며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진 만큼 투자자들은 배당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비디오 슬롯머신 무료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