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김병주 기자] 최근 6년 간 새마을금고에서 발생한 횡령‧배임‧사기 등 금융사고는 총 85건, 피해액은 640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융사고에 가담한 임직원 중 약 40%가 이사장‧상무 등 임원급인데다 회수된 금액 또한 전체 피해액의 35%에 불과해 더욱 강한 내부통제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체험 김병주 기자] 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은 이날 열린 행정안전부 국정감사를 통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새마을금고에서 발생한 금융사고를 전수 조사할 결과 이 같이 집계됐다고 밝혔다.
용 의원에 따르면 지난 6년간 새마을금고 임직원에 의해 발생한 횡령·배임·사기·알선수재가 최근 85건, 이로 인한 피해액은 640억 97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피해액 가운데 회수된 금액은 전체의 35.2% 수준인 225억7700만원으로 집계됐다.
피해금액을 사건 종류별로 나눠보면 횡령이 385억58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사기(144억3100만원), 배임(103억3800만원), 알선수재(7700만원)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남이 13건(172억 8200만원)으로 피해건수와 피해금액 모두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10건·124억 9400만원) △서울(10건·49억 900만원) △전북(9건·35억 7300만원) △경북(9건·28억 700만원) 등 순이었다.
특히, 이러한 금융사고에 연루된 새마을금고 임직원은 110명 중 이사장·상무·전무 등 임원급이 48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돼 눈길을 끌었다.
용혜인 의원은 “1300개 금고, 240조 자산 규모로 증가한 새마을금고만 행안부 산하 독자 체계로 관리할 것이 아니라, 금융위원회를 통한 금융감독 체계 안에 포함시켜야한다”며 “새마을금고법 개정을 통해 다른 상호금융기관처럼 새마을금고의 금융감독권을 전문성 높은 금융당국에게 이관하고, 금고별 경영정보 또한 충실하게 공시하도록 하는 게 적절한 방안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체험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