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 LG유플러스가 5세대(5G) 이동통신 주파수 추가 할당을 확정지었다. 경쟁사들과 같은 100㎒폭을 확보하게 되면서 통신 3사의 5G 품질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변윤재 기자] 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전날 3.40~3.42기가헤르츠((㎓) 대역 이동통신용 주파수 할당 심사를 실시한 결과, LG유플러스를 할당대상 법인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전파자원 이용의 효율성, 재정적 능력, 기술적 능력 등 3개 항목에 대해 LG유플러스가 제출한 주파수 이용계획서를 검토한 뒤 의견 청취를 통해 심사를 진행했다. 심사 결과 LG유플러스가 제시한 주파수 이용계획이 할당 조건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주파수 할당은 11월 1일 이뤄질 예정이며, 사용 기한은 2028년 11월 30일까지다. LG유플러스가 내야할 추가 할당 비용은 1521억원이다. 이는 2018년 할당한 5G 주파수의 1단계 경매 낙찰가와 가치 상승요인 등을 반영한 최저경쟁가격이다.
LG유플러스는 이번에 할당받은 대역을 활용한 기지국 1만5000곳을 포함해 오는 2025년 말까지 누적 15만개의 5G 무선국을 구축하고, 내년 12월까지 농어촌 공동망 구축을 마무리해야 한다. 농어촌 공동망 구축 시점이 6개월 당겨지면서 LG유플러스의 투자가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5G 네트워크 품질을 고도화하고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면서 “11월부터 농어촌 공동망 구축지역을 비롯한 전국에서 균일한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준비할 계획인 만큼, 투자 활성화로 따라 소비자 후생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3.40~3.42㎓ 대역을 이동통신용으로 할당하겠다고 공고했다. LG유플러스는 당시 주파수 할당을 단독으로 신청했다. SK텔레콤과 KT는 실질적으로 LG유플러스만 참여 가능한 할당이라고 판단하고 참여하지 않았다. 이번에 할당된 주파수는 LG유플러스가 사용 중인 3.42~3.5㎓에 인접해 있어서다. SK텔레콤은 3.6~3.7㎓, KT는 3.5㎓~3.6㎓ 대역을 쓰고 있다.
LG유플러스, SK텔레콤, KT이 각각 100㎒씩 사용하게 되면서 5G 상용화 이후 통신3사가 처음으로 동일한 주파수 폭을 확보하게 됐다. 이에 5G 네트워크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SK텔레콤과 KT도 투자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차세대 통신장비를 도입해 5G 속도와 품질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두 회사는 64TRx 장비 도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64TRx 장비는 기존 32TRx 장비와 비교해 안테나가 2배 많아 커버리지를 넓히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별도로 SK텔레콤은 3.7㎓ 대역을 추가 확보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SK텔레콤은 올 초 해당 주파수 대역 40㎒를 할당해 달라고 요청했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현금 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