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쿠폰 김병주 기자] 지난 2분기 국내 가계신용(빚)이 3개월 새 14조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부동산 거래 증가 및 대출 금리 하락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분기 가계신용 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96조 2000억 원으로 지난 1분기 말 대비 13조8000억원 늘어났다. 지난해 4분기 대비 올해 1분기 가계빚이 3.1조원 가량 줄어들며 가계부채 관리에 숨통이 트이는 듯 했지만 한 분기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2분기 가계 빚 증가의 원인으로는 부동산 시장 회복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확대가 지목된다. 이번 통계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주담대 잔액은 1092조7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6조원 가량 늘어났다. 주담대 증가 폭 또한 지난 1분기 12.4조원에서 3.6조원 가량 확대됐다.
반면,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전분기 대비 2.5조원 감소한 687조2000억원 수준을 기록했다. 감소폭은 전분기(-13.2조원)보다 10조원 이상 줄었지만 감소세는 지속됐다.
대출집행 기관별로 살펴보면 예금은행의 경우, 주담대(+16.7조원), 기타 대출(+6000억원)의 증가세의 여파로 가계대출 전체 규모는 1분기 사이 17.3조원 증가했다.
기타금융기관(보험·증권·자산유동화회사 등)의 가계대출 잔액 규모도 전분기 대비 1000억원 늘었지만 증가폭은 1분기(+4조원)대비 대폭 축소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오는 9월부터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 2단계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이러한 정책 노력이 시차를 두고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면밀히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쿠폰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