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심볼 김병주 기자] 올해 국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가계대출 증가액이 연간 목표치를 50% 이상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의 과도한 증가가 사회적‧경제적 부담 확대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대출 수요를 모니터링하는 한편, 적정수준으로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이 27일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대응 관련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21일 기준 국내 4대 은행 가계대출의 연간 경영계획 대비 증가율은 150.3%다. 쉽게 말해 올해 연간 100억원 공급이 목표였다면, 이미 8개월 만에 이를 50억원 초과한 150억원의 대출이 공급됐다는 의미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통상 8월 경에는 은행의 연초 대비 대출 증가율이 60~80% 수준에 이른다. 다만 올해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수요 확대와 정책금융 공급 증가로 이미 연간 목표치를 넘어선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전체 은행 기준으로도 8월 21일 기준 대출 증가율은 106.1%로 사실상 모든 은행이 연간 목표치를 초과한 수준의 대출을 공급한 것”이라며 “문제는 앞으로도 금리 인하 및 주택가격 회복 기대가 맞물리면서 가계대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일단 금감원은 실수요자 불편을 최소화하는 가운데, 대출 수요 억제를 위한 여신심사 강화를 은행권에 요청할 계획이다. 또 타 업권으로의 풍선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은행 뿐 아니라 전 금융업권에 ‘상환능력 범위 내 심사 관행’의 확립도 당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또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이 경영계획을 초과한 은행에는 내년에 시행하는 은행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관리 계획 수립 시 더 낮은 목표를 부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DSR이 낮아지면 은행이 취급 가능한 대출 한도가 줄어든다. 자연스레 대출 총량 관리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금감원측은 “이밖에 최근 은행들이 추진중인 가계대출 관리방안의 효과 및 적정성을 살펴보고, 은행연합회 등과 함께 논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심볼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