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심민현 기자] 최근 가파르게 증가하던 인터넷은행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주춤하는 모양새를 보여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전략 팁 심민현 기자] 표면적으로는 연말까지 달성해야 하는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를 채우기 위해서라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최근 계속되고 있는 금융당국의 압박에 결국 굴복한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인터넷은행 주담대 잔액 증가폭, 7개월래 최저
8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은행 3사의 올해 9월 말 기준 주담대(전월세 대출 포함) 잔액은 약 24조95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8월 말 잔액 23조3829억원과 비교했을때 7125억원 늘었는데 증가 폭이 지난 2월(3086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인터넷은행 주담대 증가세를 주도했던 카카오뱅크의 증가세 둔화가 특히 눈에 띈다.
카카오뱅크의 9월 말 주담대 잔액은 19조8673억원으로 8월 말 19조3174억원보다 5049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증가 폭이 8월(8667억원)보다 축소됐을 뿐 아니라 6월(1조4818억원)과 비교하면 3개월 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케이뱅크 주담대 잔액은 9월 한 달 동안 1516억원 늘었다. 9월 증가 폭은 월간 증가 폭이 가장 컸던 4월(3240억원)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그친다.
지난 9월 초 전월세보증금 대출을 출시한 토스뱅크의 9월 말 주담대 잔액은 110억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전월세 대출을 신청하고 취급하기까지 한 달 정도의 시차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제대로 된 수치는 10월부터 확인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주담대 축소와 관련해 데일리임팩트에 “올해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관련 비중을 높여 주담대가 일시적으로 줄어든 것처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봤을때 미미한 수준“이라며 “금융당국과 주담대 축소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일축했다.
실제 올해 연말까지 카카오뱅크는 30%, 케이뱅크는 32%, 토스뱅크는 44%의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치를 달성해야 한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8월 말 기준 28.4%, 케이뱅크와 토스뱅크는 각각 25.3%, 35.6%를 기록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만 목표인 30%에 근접했을 뿐 목표치가 32%인 케이뱅크와 44%인 토스뱅크는 연말까지 7~10%p(포인트) 가까이 끌어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계속된 금융당국 압박...인뱅 주담대가 가계부채 증가 주도?
다만 인터넷은행의 은행의 주담대 축소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경고 발언 직후 현실화된 점은 결국 은행들이 금융당국 눈치에 대출 문턱을 높일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는게 업계 안팎의 해석이다.
이 원장은 지난 8월 시중은행의 50년 만기 주담대와 인터넷은행의 주담대가 가계부채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다며 “인터넷은행은 신파일러(금융거래 이력 부족자)에게 자금을 공급한다는 정책적 목적이 있는데 지금과 같은 주담대 쏠림이 제도와 합치가 되는지에 대해 비판적 시각이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 원장의 주장은 인터넷은행 입장에선 억울한 측면이 있다. 금융당국이 지목하는 주담대 증가와 인터넷은행의 주담대는 결이 다르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가계부채 우려를 심화시킨 50년 만기 주담대의 55%는 집단대출에서, 40%는 농협, 수협, 기업은행 등 특수은행에서 발생했다. 반면 카카오뱅크는 지금까지 개별 주담대만 취급해 50년 만기 주담대 비중이 작다.
게다가 인터넷은행 주담대 절반 이상이 ‘갈아타기’ 수요였다. 인터넷은행의 대환대출 비중은 지난 6월 이후 4개월 연속 50%를 넘어섰다. 지난해 말 26.7%에 불과했던 갈아타기 비중이 올해 급격하게 증가한 것이다.
타 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소비자들이 낮은 금리를 찾아 갈아타는 대환대출 비중이 높은 만큼 신규 대출로 전체 가계대출 증가분에서 인터넷은행 주담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낮을 수밖에 없다.
금융당국의 압박으로 인터넷은행들이 주담대 금리를 높인 점도 문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3% 후반대로 전국 최저 수준이던 인터넷은행 주담대 금리는 현재 4% 중반을 바라보며 시중은행과 별반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금융당국의 인터넷은행 압박은 결국 독이 돼 소비자 피해로 돌아오는 것을 주담대 금리 상승으로 확인할 수 있다“며 “정부의 과도한 시장 개입은 시간이 지나 더 큰 부작용을 낳을 수 있는 만큼 인터넷은행의 자율성을 보장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전략 팁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