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박민석 기자 ] 국내 기업 10곳 중 6곳은 국내 ESG(환경·사회적책임·지배구조) 슬롯게임를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슬롯게임에서 기업들의 ESG를 평가할 때 평가체계 및 기준을 공개하지 않고 해외 슬롯게임들과 동떨어진 결과물을 내놓는 등 문제점을 지적한 것으로, 국내 슬롯게임들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박민석 기자] 1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기업 100개사의 ESG 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국내 ESG 슬롯게임에 대한 기업의견’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63%가 ‘국내 ESG 슬롯게임가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지 않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국내 ESG 슬롯게임 가운데 이해상충 발생 가능성도 우려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ESG 슬롯게임 내 이해상충 발생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기업의 85%가 ‘그렇다’고 답했다. 또한, 국내 ESG 슬롯게임 법적규제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도 응답기업의 60%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기업 관계자들은 해외 슬롯게임에서 받는 결과는 상승하는 반면 국내 슬롯게임의 평가 결과는 하락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토로했다. 해외 슬롯게임는 평가기준과 가중치를 공개하고 평가결과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반면 국내 슬롯게임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아 기업 입장에서 평가 대응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응답기업의 64%가 국내 ESG 슬롯게임의 주요 문제점으로 ‘평가체계 및 기준, 가중치의 미공개’라고 입을 모았다. ‘평가결과에 대한 충분한 설명 부족(46%)’도 기업들이 지적하는 주요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한 기업 관계자는 "언론에 보도된 자사의 이슈가 미검증된 상태에서 ESG 평가에서 활용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유관기관 혹은 해당기업이 공식적으로 공개한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ESG 평가대응 관련 애로사항을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들은 ‘ESG 슬롯게임의 개별 평가요청에 대응하는데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됨(53%)’, ‘ESG 평가 지표 및 기준을 이해하고 해석하기 너무 어려움(44%)’,‘ESG 전문성을 보유한 내부인력이 없음(42%)’ 등의 순서로 답했다.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ESG 평가기관 가이던스’에 대해서는 ‘슬롯게임 자율규제’(38%) 보다 ‘정부·유관기관의 가이드라인 형태’(60%)로 운영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이는 국내 ESG 슬롯게임의 공정성과 투명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ESG 슬롯게임의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개선과제를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기업의 절반가량인 46%가 ‘ESG 슬롯게임의 공정성·투명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밖에 ‘ESG 슬롯게임 관련 법·제도화 도입’(28%)’, ‘ESG 슬롯게임의 인력 역량 및 전문성 강화’(23%), ‘피평가기관 ESG 데이터 신뢰도 향상’(11%) 등이 뒤를 이었다.
상공회의소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국내 기업들은 ESG 슬롯게임들의 피드백 기회 제공 부족, 평가 방법론 미공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기업들이 ESG 평가결과에 따른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국내 ESG 슬롯게임의 투명·신뢰성 제고를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TV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