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 삼성전자가 재생에너지 기술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탄소중립 달성 시기를 2050년에서 최대한 당길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변윤재 기자] 10일 삼성전자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기술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은 지난해 9월 발표한 신(新)환경경영전략실천의 일환이다. 기후위기 대응과 환경·사회적 책임·지배구조(ESG) 경영과 같은 지속가능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연구 개발이 중요하다는 게 삼성전자의 판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통합 솔루션을 만들 계획이다.
양측은 다양한 에너지원을 혼합해 사용하는 에너지 믹스 기술을 개발하고 재생 에너지 통합 솔루션을 구현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데일이임팩트에 "사업장에서 소비하는 에너지의 20~40%는 열"이라며 "전기 에너지와 열 에너지가 유기적으로 결합, 운영돼야만 전력 수급 균형과 공급 유연성이 확대돼 사업장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태양광 발전과 같은 재생 전기 에너지 뿐만 아니라 태양열, 지열, 수열, 폐열과 같은 재생 열 에너지도 함께 활용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에너지원 또는 시스템 사이를 조화롭게 연계시키는 '섹터 커플링' 기술을 기반으로 재생에너지의 활용 효율을 개선하는 에너지 믹스 시스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 사업장 건물의 용도, 규모, 배치 및 에너지 시스템의 구성, 용량, 효율을 고려한 사업장 단위의 에너지 믹스 시스템을 연구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사업장 맞춤형 재생에너지 통합 솔루션을 구현, 삼성전자는 물론 협력회사 사업장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제작사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