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김현일 기자] 올해 설 연휴 추운 날씨 속 장거리를 달려갈 자동차는 그 어느 때보다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상태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 게임 김현일 기자] 강추위 속을 오랜 시간 달려가야 하는 데다 그간 미뤄뒀던 점검으로 인한 노후화에 과부하가 걸리기 쉬운 시기이기 때문이다.
우선 날씨가 추운 만큼 시동을 걸고 평균 1~2분 간의 예열 이후 출발하는 것이 기본이다.
시동을 걸고 바로 출발하면서 히터를 켜는 방법을 생각할 수도 있겠으나 따뜻한 바람이 나오지도 않을 뿐더러 자동차에 무리가 간다. 추운 날씨에 엔진오일의 점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바로 시동을 걸 경우 엔진에 오일이 제대로 스며들지 않은 상태로 출발하는 ‘드라이 스타트’ 현상이 일어나며 엔진에 마모가 발생하는 등 무리가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 배터리 확인 역시 중요하다. 겨울철은 밤이 길고 기온이 낮아 헤드라이트·히터·열선시트·열선핸들 등 각종 전기장치 사용이 잦아 전력소모량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배터리 전압은 계기판 경고등 혹은 블랙박스 액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초기 시동 시가 아닌 주행 중에 14볼트 안팎을 나타내면 정상이다. 기온이 낮고 블랙박스가 작동하면서 장시간 주차해 둘 경우 배터리 방전이 될 수 있는 만큼 배터리 점검창에 녹색 불(정상)이 들어오는 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방전이 됐을 경우 보험회사 긴급 출동으로 해결이 가능하지만 방전이 계속될 경우 배터리 수명이 줄어들기 때문에 3년에서 4년, 6만km의 교환주기가 되었다면 교환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동파방지를 위해 정비소를 방문해 부동액 비중점검을 해보고 비중이 낮을 경우 부동액 원액을 보충하거나 교환하는 등의 조치도 필요하다. 이때 냉각수가 순환하는 히터 호스와 라디에이터 호스를 확인하여 부동액이 새는 부위는 없는지, 호스의 고무 부위 탄성이 떨어져 딱딱해진 부분은 없는지 확인하고 필요하면 함께 교환해주는 것이 좋다.
여기에 시동 예열 시 와이퍼 역시 앞유리 열선 등으로 따뜻하게 녹인 후 작동하는 것이 좋다. 겨울 철 눈과 성에가 와이퍼 블레이드에 껴있을 경우 작동 시 유리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워셔액이 얼어있을 경우 와이퍼 작동 이상은 물론 모터의 고장까지 발생할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타이어 공기압 체크는 주기적으로 해야 하지만 특히 명절 등 장거리 운행의 전과 후에는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지 못하면 타이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 연비도 떨어지며 사고 발생률이 높아진다. 적정 타이어 공기압은 차량 문 안쪽 스티커, 연로 뚜껑 안쪽 또는 차량 매뉴얼 등에서 확인 가능하다.
출발 전후 마모도 체크 역시 중요하다. 마모된 타이어는 제동 거리를 길게 만들어 설 연휴 눈길에서 미끄럼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타이어 트레드(노면과 닿는 타이어 표면) 홈 속에 돌출된 마모한계선을 기준으로 이 곳과 가깝게 트레드가 닳았는지 확인하면서 마모의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권한다. 또한 안전운전을 위해서는 마모한계선인 1.6mm를 기다리기보단 2.8mm 정도인 상태에서 여유를 두고 일찌감치 교체하는 것이 좋다.
평소에 앞뒤 타이어 위치를 주기적으로 교환하는 것 역시 권장된다. 앞과 뒷바퀴의 역할이 각각 다르고 사용하는 힘이 다르기 때문에 마모 상태에도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특히 전륜구동(FF) 자동차의 경우 앞바퀴가 구동과 조향을 함께하기 때문에 회전만 하는 뒷바퀴에 비해 마모가 심한 편이다. 이렇게 균일하지 못한 타이어 마모의 편차를 수정하기 위해 주행거리 약 8000~1만㎞를 기준으로 앞뒤 타이어 위치를 바꾸면 타이어 4개 마모 정도가 비슷해져 일시적인 성능 보정 효과를 얻는 것은 물론 타이어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타이어업계 관계자는 “하지만 방향성이 있는 타이어의 경우 좌우 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같은 방향의 앞뒤 타이어만 바꿔 끼울 수 있다는 점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라고 조언했다.

장거리 귀성길 운행 전 엔진오일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도 중요하다. 내 차 엔진오일의 용량 및 상태는 자동차 엔진룸에 부착된 딥스틱을 활용해 확인이 가능하다. 딥스틱의 눈금이 F(Full)와 L(Low) 사이에 체크되면 정상이며 L보다 낮은 경우에는 엔진오일을 보충해야 한다. 또한 딥스틱에 묻은 엔진오일의 점도와 색상이 탁해져 있으면 교환하는 것이 좋다.
브레이크 오일도 점검 대상이다. 브레이크 오일은 브레이크 작동 시 발생하는 열을 식혀주는 소모품으로 교체주기가 3만㎞로 길지 않은 편이다. 엔진룸에 있는 브레이크 오일 탱크에 표시된 최대선과 최소선 사이에 오일이 있으면 정상이다. 오일이 부족하거나 오일의 색깔이 지나치게 어두우면 즉시 교환하거나 보충해준다.
또한 설 연휴 귀성길 왕복 등 장거리 운행 시 필연적으로 엔진 내부에 쌓이는 카본 때를 제거해주는 것 역시 엔진 성능 유지를 위해 권장되는 사항이다.
불스원 관계자는 “설 연휴 기간은 추석과는 달리 자동차 엔진 컨디션에 영향을 많이 끼치는 영하 날씨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장거리 귀성길 전과 후반드시 엔진 상태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 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