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안광석 기자] 포스코그룹이 올해 경기침체 등 불투명한 경영환경에도 ‘2030 성장비전’ 달성을 위해 주력인 철강은 물론 2차전지 소재 등 전 분야에 걸친 성장을 꾀한다.
[안광석 기자]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2일 신년사를 통해 “올 한 해 맞을 경영환경은 결코 녹록지 않으나, 위기라는 말 속에는 기회의 씨앗이 숨겨져 있다”라며 “위기 속 성장기회 선점과 지속가능 경쟁력 확보 노력을 착실히 해 나가면 더 크고 강한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그룹은 우선 철강사업은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 선제적인 친환경 생산·판매체제로의 전환을 추진하게 된다. 해외 성장시장 선점을 위한 투자 기회도 지속 발굴해 나갈 방침이다.
친환경 미래소재 분야에서는 본격적 시장 확대와 공급망 재편의 기회를 활용해 글로벌 성장 투자를 가속화하고 벨류체인을 강화함으로써 경쟁우위를 극대화 할 계획이다.
양·음극재사업은 배터리사들의 공급확대 요구에 대응하여 국내 생산능력 증강을 지속하고 글로벌 OEM사와 연계한 북미 등 해외 생산기반 확보도 추진하게 된다.
리튬사업은 광석리튬 1·2단계는 올해 말부터 적기에 준공하고 아르헨티나 염수리튬 1·2단계 건설을 진행하게 된다. 최 회장은 “추가 염호 확보를 통해 단계적 확장 기반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니켈사업은 현재 진행중인 투자사업을 조기에 안정화하고 호주·인도네시아 등에서 파트너사와 협력을 통해 정제 및 제련사업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포스코그룹은 수소사업도 친환경 제철 전환과 연계해 2030년까지 50만톤 수소 확보를 목표로 글로벌 생산 PJT 참여를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사업의 경우 기보유 중인 E&P 자산의 안정적 생산과 추가 개발을 추진하고 액화천연가스(LNG)터미널 증설과 벙커링 등 연계사업을 더욱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건축/인프라사업은 친환경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2차전지 소재와 수소 플랜트 분야 등 그룹 신성장 사업 관련 EPC 역량을 신속히 키우게 된다.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등 그룹사업과 연계 가능한 고성장 분야로 신사업 검토 범위를 확대할 것”이라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리체계 전반을 한층 업그레이드하고 기업시민 롤모델화를 통해 미래 기업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무료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