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황재희 기자] LG유플러스가 이화여대 캠퍼스를 구현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내년 초 오픈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를 통해 이화여대의 상징인 ECC와 대강당이 메타버스로 구현되어 학생들은 오프라인과 차별화된 경험을 통해 가상에서도 캠퍼스 라이프를 즐길 수 있게 됐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순위 황재희 기자] 먼저 이화여대의 상징인 ECC(Ewha Campus Complex)가 3D 모델링으로 메타버스 내에 구현된다. 국내외 학생들이 한 자리에서 교류하고 소통하는 등 오프라인과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발표자와 참석자가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양방향 소통 환경도 마련된다. 학생들은 메타버스 안에서 강의 참여는 물론, 동아리·학과·스터디 모임, 취업상담 등 현실에서 받는 서비스를 지원받게 된다.
특히, 메타버스 상담실은 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학생들이 심리적 부담이 적은 가상 환경에서 솔직한 상담 진행을 가능하게 해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외에도 이화여대는 1천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메타버스 대강당을 입학식, 졸업식, 축제 등 대규모 행사나 외부인을 위한 학교 홍보관으로 활용하는 등 대규모 인원이 참여하는 교내 행사를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상시 개최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 4월 숙명여대와 함께 국내 최초 대학 전용 메타버스 서비스를 오픈한데 이어 최근에는 청주대학교와 특화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고 '메타라이프'라는 이름으로 내년 2월 중 오픈 예정에 있다. 특히 비대면 환경에 익숙해진 대학생들의 경우 가상 공간에서 더 자유롭게 소통하는 등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높은 점을 반영해 대학교 특화 서비스를 개발해 왔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타사의 경우 웹이나 앱에서만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는 제약이 있지만 LG유플러스는 이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고려해 웹과 앱 어디에서나 접속 가능한 메타버스 환경을 구축했다"라며 "가상공간이나 디지털 기술에 익숙한 젠지세대가 가장 많이 모인 집단이 대학교이다 보니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특히 높은 편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화여대 전용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해 대학 본관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는 LG유플러스 임장혁 기업신사업그룹장(전무), 이화여대 김정태 정보통신처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재학생들이 평상시에도 메타버스 캠퍼스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효율성에 중점을 두고 상시 운영되는 특화 메타버스 플랫폼을 선보일 계획이다.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전무)은 "이화여대와의 이번 업무협약은 LG유플러스가 대학 특화 메타버스의 표준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온 결과물"이라며 "이화여대와 긴밀히 협력해 학생들이 현실 캠퍼스만큼 유용하고 매일 방문할 수 있는 메타버스 공간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순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