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최문정 기자] LG유플러스가 11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수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A/B테스트 플랫폼’을 개발했다.
[최문정 기자] A/B테스트는 기존에도 사업 구상에 사용되던 의사결정 방법이다. 이 테스트는 기존안을 A로 선정하고, 개선안을 B로 선정한 뒤, 양 안에 대한 고객의 반응을 비교해 어느 버전이 나은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LG유플러스는 디지털전환(DX)의 일환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A/B테스트 플랫폼을 개발했다. LG유플러스의 최고기술책임자(CTO) 조직은 지난해부터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통신업에 최적화 된 A/B테스트 플랫폼을 개발했다. 회사는 지난해 10월부터 U+잭팟 슬롯머신 무료게임. U+모바일, U+아이들나라 서비스 개선 업무에 A/B테스트 플랫폼을 투입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오프라인 A/B테스트는 데이터 수집·분석 과정에 너무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했다”라며 “단일 서비스의 경우, 다수의 A/B테스트를 동시에 진행하기 어려운 점도 문제였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새롭게 도입된 A/B테스트 플랫폼은 가입 고객 정보와 사용이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객 조건을 자동 설정하거나, 실사용 행동 기록을 기반으로 고객의 반응을 집계해 자동 분석까지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기존 A/B테스트에서는 타깃 소비자를 선정하는데 최대 3주까지 소요됐다. 하지만 A/B테스트 플랫폼은 이를 단 2분으로 줄였다. 최대 4주가 걸렸던 결과 분석 시간도 1시간 내에 완료된다.
LG유플러스는 임직원 누구나 A/B테스트를 사용해 결과를 공유하고, 다수의 테스트를 동시에 진행하며 타겟 고객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했다. 또한 실험군 별로 UI/UX를 개발하지 않고도 테스트할 수 있는 ‘멀티편성기술’을 구현했다.
LG유플러스는 내년부터 고객경험과 관련 서비스를 개선하는 모든 의사결정에 A/B테스트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하는 문화가 사내에 뿌리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잭팟 슬롯머신 무료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