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와일드 심볼 박세현 기자] 채권 전문가 83%는 오는 28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융투자협회가 26일 발표한 '2024년 12월 채권시장지표'에 따르면 채권보유 및 운용관련 종사자 100명이 응답한 설문조사에서 83명은 오는 28일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해당 조사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1400원 대에 진입하면서 고환율 고착화 우려 및 미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가 줄어들면서 11월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예상이 전월 대비 낮아졌다.
채권 금리가 보합세를 나타낼 것이라는 응답이 64%로 지난달(64%)과 동일했다. 채권 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응답은 12%, 떨어질 것이라는 응답은 24%로 모두 지난달과 같은 수준이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지난달과 비교해 감소한 데다 물가 및 환율 변동성으로 인한 시장금리 상승, 하락 예상이 뒤섞이면서 금통위 후에도 채권 금리가 보합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풀이된다.
물가 관련 채권시장 심리뿐만 아니라 환율 관련 시장 심리 모두 전월 대비 악화했다. 다음 달 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30%로 전월(8%) 대비 22%포인트 상승했다. 물가 하락을 예상한 비율은 3%로 전월(19%)보다 16%포인트 하락했다.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3%로 안정적인 하락세를 기록했지만, 최근 환율과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며 물가상승 전망이 늘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환율 상승을 예상한 비율은 21%로 전월(4%) 대비 17%p(포인트) 증가했다. 하락세를 예상한 응답은 31%로 전월(45%) 대비 14%p 줄었다.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에 대한 발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확산 우려가 잇따르면서 환율이 추가로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이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한 다음 달 채권시장 종합지표(BMSI)는 지난달의 116.5보다 5포인트 하락한 111.5로 집계됐다.
BMSI는 100 이상이면 채권가격이 상승(금리 하락)할 것으로 기대해 채권시장 심리가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 이하일 경우 채권시장의 심리가 위축됐음을 나타낸다.
금투협은 “미 대선 이후 고환율 기조가 이어지고 기준금리 인하 신중론이 확산되면서 12월 채권시장 심리가 악화했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와일드 심볼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