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리뷰 사이트 한나연 기자] 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9월 1주(지난 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지난주보다 0.21% 올라 2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상승 폭은 전주(0.26%)보다 축소되면서 지난달 셋째 주, 넷째 주에 이어 3주 연속 상승 폭 축소를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선호 지역·단지에 대한 국지적 상승 거래는 지속해서 포착되나, 대출 여건 관망, 단기 급등 단지에 대한 피로감 등으로 상대적인 매물 소진 속도가 느려지면서 상승 폭은 전주 대비 축소했다”고 분석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성동구(0.43%), 서초구(0.41%), 광진구(0.32%), 송파구(0.31%), 강남구(0.30%), 마포구(0.30%), 용산구(0.26%)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인천(0.14%→0.13%)과 경기(0.12%→0.10%) 모두 상승 폭이 축소되면서 수도권 전체 상승률 역시 0.17%에서 0.14%로 낮아졌다.
지방(-0.02%)은 시·도별로 부산(-0.02%), 대전(-0.01%), 대구(-0.07%), 충남(-0.04%), 충북(-0.03%), 강원(0.01%), 광주(-0.01%), 울산(0.01%), 세종(-0.03%), 전남(0%), 전북(0.03%), 경남(-0.01%), 경북(0%), 제주(-0.05%) 등의 결과를 보였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15% 오르며 68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다만 상승 폭은 전주(0.17%) 대비 축소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물 부족이 지속되고 임차 수요가 꾸준한 상황에서 상승 거래가 이어지고 있으나, 일부 지속적인 가격 상승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서울 전체 상승 폭은 축소했다”고 분석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성동구(0.38%)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초구(0.24%), 영등포구(0.22%), 광진구(0.21%), 노원구(0.19%), 용산구(0.18%), 강서구(0.18%), 중랑구(0.18%) 등이 뒤를 이었다.
경기(0.12%→0.09%) 지역 역시 상승 폭이 축소됐지만, 인천은 전주(0.21%) 대비 상승 폭이 확대돼 0.30%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방 전셋값은 이번 주에도 보합(0.00%)을 유지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리뷰 사이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