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3D 슬롯머신 무료게임 한나연 기자] 서울 아파트값이 23주 연속 오른 가운데 상승 폭은 2주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파른 가격상승에 대한 피로감으로 전반적인 매수세와 거래량이 다소 주춤하며 상승 폭은 축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부동산원이 29일 발표한 '8월 넷째 주(26일 기준)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보다 0.26% 오르며 23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상승 폭은 지난주(0.28%)보다 줄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마포·용산구 일대 선호단지에서 신고가 갱신 사례가 포착되는 등 상승세는 지속되고 있으나, 가파른 가격 상승에 대한 피로감으로 전반적인 매수세와 거래량이 다소 주춤하며 상승 폭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이 상승세 주도를 이어가고 있다.
먼저 금호·행당동의 선호단지 위주로 오른 성동구(0.55%)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초구(0.50%), 송파구(0.44%), 광진구(0.33%), 용산구(0.32%), 강남구(0.33%), 마포구(0.31%) 등이 뒤를 이었다.
인천(0.15%→0.14%)은 상승 폭이 줄고, 경기(0.11%→0.12%)는 커지면서 수도권은 지난주와 동일한 0.17%의 상승 폭을 유지했다.
경기 지역에서는 과천(0.40%), 하남(0.37%), 성남 수정구(0.34%), 성남 분당구(0.34%) 위주로 아파트값이 상승했다.
지방 아파트값은 전주에 이어 이번 주에도 0.01% 하락했다. 이에 전국 기준 아파트값 상승 폭은 0.08%로 지난주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전세시장도 상승세가 주춤한 모습이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주 0.08%에서 이번주 0.07%로 줄었다. 서울(0.20%→0.17%)과 수도권(0.16%→0.15%) 모두 상승 폭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주 0.01% 하락했던 지방 전셋값은 이번 주 보합(0.00%) 전환했다. 서울의 경우 상승 폭이 줄긴 했지만, 67주 연속 상승을 이어갔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임차인이 선호하는 매물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에서 거래가격 및 매물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일부 지역에서 높아진 가격에 수요자들이 관망세를 보이면서 서울 전체 상승 폭은 축소됐다"고 전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3D 슬롯머신 무료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