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황재희 기자] LG디스플레이(LGD)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자체 개발해 고객가치 창출을 위한 업무혁신에 나서고 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황재희 기자] 17일 LGD는 LG AI연구원, LG CNS 3사 협업을 통해 자체 생성형 AI 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LGD가 개발한 생성형 AI는 특화된 지식을 학습해 최적화된 결과물을 도출해 낸다. AI 시스템에 제품 품질과 관련된 질문을 입력하면 축적된 사내 특화 지식을 분석해 최적의 답변을 제시해 주는 식이다.
가령 “OO 품질 강화 방법 알려줘”라는 질문을 입력하면 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분석해 즉각 답변해 주는 형식이다.
LGD는 생성형 AI의 핵심이 되는 LLM(대형언어모델)을 사내에 구축해 기술의 외부 유출을 원천 차단했다. LGD에 특화된 지식정보를 사내 LLM을 통해 탐색하도록 설계돼 보안 안정성을 확보했다는 설명이다.
학습과 분석을 위한 LLM으로는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인 ‘엑사원’을 활용했다. 사용자의 특정 질문에 맞춰 사내문서 30만여건에서 답변을 찾아내는 역할은 LG CNS가 자체 개발한 검색엔진 ‘키룩’이 담당한다.
LG CNS와 LGD는 사내 문서 약 91%가 PPT 형식이라는 점에서 PPT 전처리 알고리즘도 개발했다. LG CNS는 키룩이 문자뿐만 아니라 테이블, 도표 등 비정형적 텍스트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키룩에 15개 전처리 알고리즘도 적용했다.
LGD는 임직원들의 사용 내역을 지속 학습시켜 하반기에 더욱 고도화된 생성형 AI를 선보일 예정이다. 올해 안에 검색 영역도 품질과 더불어 특허·안전·장비·구매 등 타 영역까지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LGD 관계자는 "생성형 AI의 도입으로 업무 혁신도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업무 효율이 높아진 만큼 임직원들이 고객가치 혁신 활동 등 핵심 업무에 더욱 매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