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김현일 기자] 포스코 임단협이 늦어지면서 창사 이후 첫 파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노사가 연휴 내내 이어진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딜사이트경제무료슬롯머신게임 김현일 기자] 6일 포스코에 따르면 포스코 노사는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이어진 임단협에도 불구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지난 8월 23일 노조 측의 교섭결렬 선언으로 약 한 달간 임단협 교섭이 중단되었다가 지난 9월 21일 교섭을 재개했다.
이후 양 측은 의견을 좁히기 위해 휴일인 10월 3일에도 실무협의를 진행했으며, 이후 10월 4일과 5일 진행된 교섭에서 회사측은 △기본임금 16만2000원(매년 정기인상분 9만2000원 포함) 인상 △일시금 600만원(주식 400만원, 현금 150만원, 지역사랑상품권 50만원) △격주 주4일제 도입 즉시 시행 등을 최종안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회사 측은 노사합동 TF를 구성해 이번 교섭에서 쟁점이 됐던 생산성격려금(PI, Productivity Incentive) 신설을 포함한 경영성과금 제도 개선, 직무급제 도입, 복리후생제도 개선과 관련해 협의할 것을 제안했다. PI는 개인이나 부서의 업무 성과에 따라 지급되는 격려금이다.
사측은 지난 5일 교섭에서 실무협의 내용과 직원 정서를 고려해 기존안에 더해 최근 10년내 최고 수준의 진전된 안을 제시했다는 입장이다. 지난 9월 21일 교섭에서 사측은 △기본임금 15만원 △주식 400만원 1:1 매칭 △격주 주 4일제 △구내식당 중식 무료 제공 △정년퇴직자 70% 고용연장(재채용 확대) 등 임금성 안건 17건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회사의 계속된 추가 제시안에 대해 노조 측은 아직 노조안에 비해 미흡하다며 교섭결렬과 조정신청을 선언했다.
회사는 원만한 교섭 타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대화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상반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50% 이상 급감하는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조속한 타결을 위해 예년 대비 높은 임금인상률을 제시했다”라며 “직원 평균 인상률은 5.4% 수준이며, 가장 낮은 직급인 사원급 직원들의 인상률은 약 7.2%에 달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무료슬롯머신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