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김현일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현대자동차그룹이 국내외에서 생산할 전기자동차용 구동모터코어 대규모 수주에 잇달아 성공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플레이 김현일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3일 전자공시를 통해 현대차그룹과 구동모터코어 총 353만대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오는 2026년부터 2034년까지 현대차그룹 북미신공장(HMGMA)에 차세대 전기차 전륜구동 모터코어 109만대와 후륜구동 모터코어 163만대를 공급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2026년부터 2036년까지 현대차그룹 국내생산 전기차 후륜구동 모터코어 81만대도 공급할 계획“이라며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9월까지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현대차그룹과 체결한 구동모터코어 수주계약은 총 1038만대에 달한다”고 말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공급하는 모터코어의 주재료로는 포스코의 무방향성 전기강판(Hyper Non-Oriented Electrical Steel)이 사용된다. 이는 기존 전기강판보다 에너지 손실을 대폭 개선한 제품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포스코가 생산하고 있다.
여기에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이 자체개발한 적층공법 특허기술을 통해 모터의 효율과 성능이 극대화됐다는 입장이다. 해당 회사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자회사로 지난 2020년 독립했다.
이에 더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글로벌 생산망 구축을 통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등 전기차 시장의 무역장벽 리스크를 해소하고 완성차 업체들의 현지조달 수요를 충족한다는 입장이다.

우선 오는 2030년까지 각 대륙 거점인 중국·멕시코·폴란드·인도 등에 구동모터코어 500만대 생산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중국의 경우, 지난해 3월 연간 90만대 생산 규모의 신규 공장을 착공해 올 하반기 완공을 앞두고 있다. 다음달 준공 예정인 멕시코공장은 연간 150만대 규모의 생산체제를 갖출 예정이다. 생산능력을 증대한 만큼, 현대차그룹을 포함해 글로벌 친환경차 기업들의 북미 생산기지로 공략해 나갈 계획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유럽은 폴란드를 생산거점으로 낙점하고 오는 2025년 생산을 목표로 공장 후보지를 검토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플레이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