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 위메이드가 2분기 '나이트 크로우'의 흥행으로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그러나 신작 출시에 따른 마케팅 비용과 지급수수료, 인프라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손실이 지속됐다.
[변윤재 기자] 위메이드는 9일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593억원, 영업손실 403억원, 당기순손실 294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46% 증가했지만, 영업손실은 더 커졌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7% 증가한 것. 5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함에 따라 시장의 전망보다 낮은 성적을 받았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취합한 증권사 전망치 평균(컨센서스)은 매출 2071억원, 영업손실 87억원이다.
위메이드의 2분기 실적은 '나이트 크로우'의 영향이 컸다. 지난 4월 출시된 나이트 크로우는 출시 100일이 지난 현재까지 양대 마켓 매출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장현국 대표는 "7월 나이트 크로우의 일매출은 9억원 수준이었고, 이번달에도 비슷한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신작 출시에도 (성적이) 유지되고 있으니, 한국 시장에서 낼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본다. 내부적으로 운영한 잘한다면 현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이트 크로우는 역대급 매출을 안겨줬지만 수익성 감소에도 한 몫했다. 장 대표는 "나이트크로우 개발사가 연결대상은 아니어서 위메이드 차원의 매출 개선 효과가 적었다"며 "오픈 초반 이용자들이 많이 몰려서 트래픽 관련 시스템 인프라 비용도 발생했고, 마케팅비도 많이 집행했다"고 설명했다. 위메이드는 나이트 크로우 개발사 매드엔진의 지분 40.61%를 보유 중이다. 지분율이 50%를 넘지 않아 매드엔진은 위메이드 산하로 편입되지 않았다.

위메이드는 다만 3분기부터는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내 나이트 크로우 블로체인 버전을 글로벌 출시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나이트 크로우는 이미 국내에서 게임성을 입증했다. 나이트 크로우 효과로 2분기 위메이드 게임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4%, 전분기 대비로도 79%나 증가했다. 국내 매출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4%, 1분기와 비교해서는 158%나 뛰었다.
장 대표는 "마케팅 비용을 많이 줄였고, 트래픽이 하향 안정화됨에 따라 시스템 비용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올해 글로벌 버전이 출시되기 때문에 고정비용 없이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 장기적으로 이익 개선이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매드엔진을 종속기업으로 편입시키는 작업이 진행될 전망이다. 이날 위메이드는 매드엔진 지분 5%를 추가 확보했다고 밝혔다. 장 대표는 "나이트 크로우 이익이 반영되도록 구조를 변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이트 크로우의 게임 퍼블리싱 부분만 위메이드에 반영됐지만, 이를 바꾸겠다는 것이다. 단 구체적 시점을 밝히지 않았다.
위메이드는 중국 사업도 확대할 계획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말 판호 발급을 재개했는데, 위메이드는 이에 맞춰 '미르4' '미르M'의 중국 출시를 준비 중이다.
장 대표는 "중국 게임산업 좋은 사업 환경을 맞이했다"며 "중국 정부가 게임 산업의 진흥을 약속함에 따라 시장이 다시 열리고 성장의 기지개를 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2001년 출시된 '미르의전설2'를 시작으로 긴 중국 사업 역사를 갖고 있다. 2015년에는 '열혈전기M'이 중국 모바일게임 시장 1등도 했다"면서 "저작권 침해, 각종 소송과 같은 시련도 겪었지만, 중국 게임 시장과 중국 게임 산업에 대해서 남다른 경쟁력을 갖게 됐다"고 밝혔다.

장 대표는 중국 시장에서 커지고 있는 기회를 발판 삼아 과거 분쟁을 정리하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모든 분쟁도 정상적인 사업을 위한 것이었고, 이제 결과물들을 집대성할 모멘텀이 왔다"고 자평했다.
앞서 위메이드는 2001년 미르의 전설2를 중국에 출시,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냈지만 각종 소송에 시달렸다. 지식재산권(IP)을 둘러싼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IP 활용을 높일 수 있게 됐다.
장 대표는 "위메이드의 캐시카우였지만, 지속된 분쟁으로 충분한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한 미르의전설2 라이선스와 관련, 공동 저작권자와 중국 퍼블리셔 등 이해관계자들과 '윈윈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자'는 합의가 있었다"며 "이 합의를 바탕으로 라이선스 문제가 정리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위메이드는 소송의 결고에 따라 저작권 분쟁도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르4', 미르M의 중국 출시는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장 대표는 "중국을 염두에 두고 개발해 현지화에는 어려움이 없다"며 "이미 중국어 빌드가 나와, 퍼블리셔를 정해 판호 허가를 받으면 되는데 신속히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위메이드는 하반기 신작 라인업도 확대할 방침이다. 북유럽 신화의 웅장한 세계관을 구현한 '레전드 오브 이미르', 현대전 기반 '디스민즈워(가칭)', '러브 레시피', '던전앤스톤즈', '어비스리움 오리진', '미르의 전설2: 기연', '발키리어스'가 개발 중이다.
블록체인 사업은 위믹스 3.0 생태계 확장을 목표로 경쟁력 강화에 주력한다. 이미 다양한 협력체계를 구축한 상태다. 아랍에미리트 글로벌 테크 기관인 허브71과 업무협약를 체결했다. 카카오게임즈, 일본의 구미 등 4개의 노드 카운슬 파트너가 위믹스 3.0에 합류했다.
여기에 맞춰 서비스 확대도 이뤄지는 중이다. 신규 디파이 서비스와 플랫폼을 론칭하고, '인피니티파티배틀'을 포함 6종의 게임을 위믹스 플레이이 온보딩했다. 위믹스달러는 글로벌 디지털 자사 거래소에 상장했다. 일본에서 열린 웹3 컨퍼런스인 웹엑스에 참가한 것은 물론, 인도 가상자산 거래소에 위믹스가 상장됐다.
한편, 위메이드맥스의 연결기준 2분기 매출액은 약 156억원, 영업이익은 9억원, 당기순이익은 약 8억원을 달성했으며 위메이드플레이 연결기준 2분기 매출액은 약 299억원, 영업손실은 약 2억원, 당기순이익은 약 51억원을 기록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전략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