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 영광=데일리임팩트 이진명 기자] 영광군의회(의장 강필구)는 지난 제270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임영민의원이 대표 발의한“한빛원전 1․2호기 수명연장 규탄 성명서”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진명 기자] 군의회에 따르면 한빛원전 1․2호기는 2025년과 2026년에 각각 폐로 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지난 10일 산자부가 밝힌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한빛 1.2호기가 폐로대상에서 제외한 결정이 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군의회는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국가에너지산업의 정책기조를 쉽게 뒤집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줏대 없는 결정’이라며 지난 12월에 이어 반대 의견을 밝혔다.
의회는 1․2호기는 수명연장 결정은 정부 폭거의 결과물이라 주장 하며 계획대로 원전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사용후핵연료 등에 대한 뚜렷한 대책도 밝히지 못하는 정부와 한수원의 행태를 지적했다.
산자부는 지난 10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사용후핵연료 발생량‧포화전망 설명회를 통해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사용후핵연료 포화시점 재산정 결과를 공개했다.
산자부에 따르면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포화시점이 2030년 한빛원전에서 2031년 한울원전, 2032년 고리원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2021년 12월 전망 대비 1~2년 단축되는 것이다.
이는 저장 필요량이 원전 본부별 저장 가능 용량을 넘어 더 이상 저장이 불가능해지는 때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산정 결과 2021년 12월 예상 대비 15만 9000다발의 사용후핵연료가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경수로 7만 2000다발과 중수로 72만 2000다발 등 총 79만 4000다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승렬 산자부 원전산업정책국장은 “저장시설 포화로 인해 한시적으로 원전 내 건식저장시설 건설이 불가피한 바, 주민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설계 방향이 구체화되면 설명회와 공청회 등을 통해 대규모로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영광군의회는 안정적인 전력수급이라는 명분 아래 영광군민의 희생과 고통만을 강요하고 있는 정부와 한수원의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강력히 규탄하고, 즉시 계획을 백지화 할 것을 요구했다.
성명서를 대표 발의한 임영민 의원은 데일리임팩트에 “정부와 한수원은 영광군민의 생명과 안전을 도외시하고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며 “한빛원전 1․2호기 수명연장계획을 당장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이날 채택된 성명서는 대통령실과 국회 등 관계 기관에 전달될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국내 원전 발전량이 탈원전 정책 이전 수준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발표 된 한전의 12월 전력통계월보를 보면 2022년 원전 발전량은 전년 15만 8015GWh(기가와트시)에 비해 11.4% 증가한 17만 6054GWh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에 기록한 기존 최대치 16만 4762GWh보다도 1만GWh 이상 많은 원전 발전량이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테마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