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140억개에 달하는 다양한 커넥티드 기기들을 원활하게 연결해 사람들의 일상과 지구 환경을 위해 많은 변화를 이루어 내겠다.”
[변윤재 기자] 한종희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부회장)이 회사의 미래 비전으로 ‘초연결‘을 제시했다.
4일(현지시간) 한 부회장은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인 CES 2023 프레스 컨퍼런스를 통해 맞품형 경험으로 초연결 시대를 열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삼성전자 외에 구글, 아마존, 애플 등 다양한 제조사의 스마트홈 기기들을 사물인터넷(IoT)으로 연결해 생활의 편리와 탄소 저감에 기여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더 쉽고 직관적인 기술을 구현해 다양한 기기들의 연결성과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한 부회장은 “연결을 통해 모두의 꿈과 바람이 담긴 기술을 현실로 구현하는 것이 우리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비전”이라며 “DX부문 임직원 절반 가까이가 커넥티드 기술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초연결 시대를 가속화할 병기를 추가한다.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이다. 무선 충전기에 내장된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은 IoT 연동 표준인 매터를 지원한다. 초연결 생태계를 확장하고 스마트홈 기기들을 제어하는 스마트싱스 허브 역할을 한다.
정재연 삼성전자 디바이스플랫폼센터 부사장은 “스마트싱스는 이제 단순한 IoT 플랫폼이 아니라 초연결 경험을 제공하는 삼성전자의 새로운 가치와 비전”이라며 “삼성 제품과 스마트싱스를 중심으로 매터, HCA를 통해 연결 생태계를 계속 확장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대내외 초협력을 더 확대한다. 시그니파이와 협업해 게임&비디오 싱크 서비스를 스마트 슬롯 슬롯시티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슬롯 슬롯시티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에 맞춰 조명의 색상과 밝기가 변해 몰입감을 높여준다.
전장 계열사인 하만과 손잡고 하만 레디 케어 솔루션도 내놨다. 카메라, 레이더 등의 센서와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운전자의 인지 수준을 측정한다. 운전자의 상태 변화에 따라 공조 등이 맞춰지기 때문에 차량 내 스마트 경험(ICX)을 극대화하고 최적의 운행이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연결 생태계를 바탕으로 스마트싱스 유니버스를 구현하는 게 목표다. 자연스럽게 기술이 일상에 녹아드는 캄테크를 제공함으로써 스마트싱스 대중화를 달성하고 나아가 삼성전자의 브랜드 충성도를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다. 삼성전자는 실제 아침, 낮, 저녁별로 사용자에 맞춰 전자기기들이 동작하는 사례를 보여주고, 스마트싱스가 가져올 변화를 부각했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 에너지로 가전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고 했다. 나아가 커넥티드 기기 사용 단계의 탄소 배출을 측정하고 저감하기 위한 업계 표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스마트 인프라 솔루션 제공업체인 지멘스와 함께 스마트싱스 에너지를 통해 미국 콜로라도의 스털링 랜치에서 에너지 저감 실험 중이다. 1만2000가구 이상의 탄소 제로를 목표다.
삼성전자는 연결 생태계를 완성시켜 줄 기술들을 소개했다. 새 녹스 매트릭스 보안 플랫폼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연결된 기기간 에코시스템을 보호해준다. 가장 취약한 링크가 공격받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기기가 취약점이 발생했는지를 상호 모니터링하게 된다. 녹스 매트릭스는 삼성 기기로부터 시작해 타사 제품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로봇과 증강현실(AR) 등 미래 기술 경쟁력과 직결된 인공지능(AI)도 소개됐다. 공간인지 AI다. 로봇, 증강현실은 AI를 기반으로 가장 개인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다. 다만 현재는 로봇청소기가 장애물을 피해가는 정도다. 집안의 물리학적 구조, 기기와 사용자의 위치, 객체간 상호 관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고도화해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 슬롯시티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