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최동수 기자] 내년부터 새 회계기준인 'IFRS17'이 시행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현장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대부분의 보험사는 재무제표 작성이나 신지급여력제도(K-ICS·킥스) 비율 산출을 위한 시스템을 착실하게 준비한 것으로 파악됐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토너먼트 최동수 기자] 5일 금융감독원은 국제 자본규제에 부합하도록 신지급여력제도를 마련해 IFRS17를 내년 1월부터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보험사의 보험부채를 원가가 아닌 현재의 가치로 평가하게 되고 보험사의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제도도 모든 자산과 부채를 시가로 평가하는 K-ICS로 개편된다.
보험사들도 이런 신지급여력제도 도입에 대비해 최근 몇 년간 자본확충에 주력해왔다. 금감원은 새 제도 시행을 위해 건전성감독기준 재무상태표를 신설했다. 일반·감독회계기준과 달리 자산과 부채를 모두 시가로 평가하는 킥스 산출이 가능하도록 건전성감독기준 재무상태표(PAP)를 별도로 뒀다.
건전성 감독기준 재무상태표상 순자산 항목은 손실흡수능력에 따라 기본·보완자본으로 분류했다. 또한 국제적 기준에 맞도록 지급여력기준금액 산출기준도 개정하고 장수·해지·사업비·대재해·자산집중 위험 등을 신규 측정 리스크에 추가했다.
금감원은 지난 10월 보험사들을 상대로 현장점검을 실시한 결과 재무제표 작성이나 킥스 비율 산출을 위한 시스템 부문에서는 대부분의 보험사들이 착실히 준비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밝혔다. 다만 보험부채를 평가할 때 손해율이나 미래보험금 추이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일부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IFRS17 시행을 위한 보험업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를 적극 지원하는 등 법령 개정작업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토너먼트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