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박민석 기자] 국민연금이 ESG 투자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환경 정보에 대해서 별도 제출 요구를 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민석 기자] 기후변화 등 환경 정보가 투자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음에도 적극적인 정보 요구 활동을 하지 않고 있어 ESG 투자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있다.
12일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ESG 정보 입수율은 지배구조 93.6%, 사회 75.4%, 환경 정보는 43.1%에 그쳤다.
국민연금은 14개 평가 이슈(환경 3개, 사회 5개, 지배구조 6개)에 61개의 기업 ESG 평가지표(환경 15개, 사회 24개, 지배구조 22개)를 마련해 ESG 투자에 활용하고 있다.
ESG 정보 입수율이란 국민연금이 투자 중인 1000여개 기업 가운데 ESG 평가지표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있는 기업 수를 뜻한다.
세부 평가지표별 정보 입수율은 환경 영역이 저조했다. 환경경영 목표 설정(5.7%), 제품환경성 개선(12.6%), 화학물질 배출량(29.3%)로 나타났다.
환경영역 중에서도 리스크로 자리할 수 있는 '기후변화 이슈' 정보 입수율도 47.8%에 그쳤다. 기후변화 이슈의 세부 평가지표 정보 입수율은 자발적 기후변화 대응 100%를 제외하면, 온실가스 관리시스템 37.8%, 온실가스 배출량 40.9%, 에너지 소비량은 40.6%에 불과했다.
한 의원은 국민연금이 재무적으로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이슈 중 하나인 기후변화 대응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정보가 불충분해 ESG 평가시 왜곡 가능성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투자 판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같은 상황에도 국민연금은 투자대상 기업에 기후변화 등 ESG 관련 '정보공개 요구'를 하지 않고 있으며 향후 활동 계획도 없는 상황으로 알려졌다.
특히 환경 정보 입수율은 지난해보다 소폭 줄었다. 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인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연금에 관련 자료를 요청했을 당시에도 환경부문 정보 입수율은 44%로 사회 75%, 지배구조 100% 비해 현저히 낮았다.
한 의원실에서 국민연금에 기후 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 지지 의향과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서명을 통한 기업의 기후 관련 정보공개를 요구를 서면으로 질의했으나, 이에 대해서는 ‘결정된 바 없다’고 답변했다.
이는 미국 캘퍼스, 네덜란드의 ABP 등 주요 글로벌 연기금들이 TCFD 지지와 더불어 CDP를 통해 투자 기업에 기후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활동을 전개하는 것과는 상반된 행보다.
이종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사무국장은 데일리임팩트에 “수익성과 수탁자책임원칙에 따라 적극적으로 투자 기업에 정보공개를 요구해야 하는 국민연금이 기업의 자발적 공시와 ESG 정보공개 의무화만을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는 감나무 밑에 누워서 감이 떨어지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태도”라고 지적했다.
한 의원실에서는 환경 정보 입수율을 높이기 위해 ‘ESG 정보공개 의무화’ 시점을 앞당겨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보입수율이 90%가 넘는 지배구조 영역의 경우 자산규모 1조원 이상 기업이 의무적으로 제출하고 있는 지배구조보고서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E와 S 영역 정보를 담고 있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의무화 시점도 빨라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2025년 자산 규모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로 시작해 2030년에는 전 상장사로 확장될 전망이다.
한 의원은 “정부는 ESG 정보공개 의무를 국제적인 흐름에 뒤처지지 않게 조속한 의무화를 검토하고 그 전에라도 국민연금은 ESG 정보의 입수율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정보공개 요구 활동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 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