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슬롯무료게임
슬롯무료게임
슬롯무료게임
뉴스
Site Map
딜사이트 in 월가
매주 월~금 07:00
출발! 딜사이트
매주 월~금 08:00
머니 마스터
매주 월~금 10:00
애프터 월가
매주 월~금 12:00
기간 설정
딜슬롯무료게임S App 출시
저가 메리트 부각되는 반도체주...연내 반등 어렵다?
이상현 기자
2022.09.02 16:43:34
반도체 업계 부진에 반도체 주요 10개 회사 주가 악화
수출 약세와 미중 패권 다툼에 하락세 반등 쉽지 않을 듯
슬롯무료게임 관련 이미지. 사진.이미지투데이
반도체 관련 이미지. 사진.이미지투데이

[데일리임팩트 이상현 기자] 전반적인 반도체 업계의 부진에 국내 주요 반도체 회사들의 주가도 좀처럼 기를 펴지 못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의 핵심 상품인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투자심리 또한 악화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상현 기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반도체 시장의 수출 역성장과 미국의 반도체 시장 제재가 맞물리면서 당분간 투자심리 회복은 요원한 상황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여기에 하반기에도 반도체 가격 하락이 예상되는 만큼, 반도체주의 반등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의 주가는 연초부터 시작된 글로벌 반도체 시장 투자심리 악화의 여파로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주말 현재 DB하이텍은 연초(1월 3일)대비 41.5%(3만1900원) 떨어진 4만5000원선을 유지하며 가장 심한 낙폭을 보였다. 이 밖에 같은 기간 SK스퀘어(-41%), 한미반도체(-39%), SK하이닉스(-28%), 삼성전자(-26%) 등의 주가도 약세로 전환했다.

특히, 국내 반도체 대장주로 불리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 역시 지난 2일 기준 전일 대비 1.54%, 0.76% 하락한 채 장을 마쳤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 관련주들의 주가하락 원인으로 우크라이나 사태나 미국 경기 침체 등의 국제적 이슈에 의한 투자심리 악화를 지적한다. 또 물가 상승과 코로나 거리두기 완화로 인한 메모리 반도체 수요의 감소 역시 주요 원인으로 손꼽힌다.


문제는 올해 연말까지 이러한 반도체 관련주의 하락세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반도체 수출의 시장의 ‘역성장’ 움직임이 포착된데다, 미·중 갈등으로 반도체 시장에 긴장감도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2년8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액은 566억7000달러로 역대 8월 최대 실적을 달성했지만 무역수지에서 94억7000만달러의 적자가 발생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초의 5개월 연속 적자다.


특히, 15대 주요 수출 품목 중 가장 많은 비중인 19%를 차지하는 반도체는 107억8200만달러의 수출액을 달성했지만 전년 대비7.8%의 적자 발생으로 26개월 만에 역성장세를 보였다.


적자 발생의 원인으로는 신규 CPU 출시 연기 및 인플레이션 등에 따른 소비자용 IT 수요 둔화가 거론된다. 특히 국내 반도체 회사들의 주요 상품인 D램과 낸드플래시의 가격 하락세가 적자 발생과 연관이 깊다는 분석도 나온다.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는 세계 D램 매출의 71.3%를 점유했다. 또 SK하이닉스의 경우, 낸드플래시 시장 6위인 솔리디움의 합병 영향으로 올해 1분기 세계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54%의 점유율을 확보하기도 했다.


하지만 국내기업이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D램과 낸드플래시가 부진한 수요를 보이며 가격이 하락했고, 이는 국내 반도체 나아가 수출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D램과 낸드플래시의 고정가격은 계속 하락해 2022년 5월부터 2022년 8월까지 각각 2.85달러(-15%), 4.42달러(-8.2%)에 거래됐다. 이같은 가격 하락의 여파로 반도체 수출 수지에 적자가 발생했다.


또한 최근 지속되고 있는 미‧중 갈등도 반도체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미국 정부가 자국 반도체 대기업인 엔비디아와 AMD에 대한 중국 수출 제재를 가하면서 관련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가 폭락하고 있다. 이러한 미‧중 갈등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반도체 관련주에도 부정적 여파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메모리 가격은 중국 스마트폰 수요 부진과 인텔의 신규 CPU 출시 연기로 서버용 메모리 대기 수요가 일어나 하락세가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 역시 데일리임팩트에 “D램의 전반적 수요 약세에 가격 인하에도 불구하고 구매는 저가 부품에서만 일부 발생하고 있다”며 “최종 거래량 부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무료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딜슬롯무료게임플러스 안내-2

ON AIR나 혼자 쩜상

딜슬롯무료게임플러스 B2C 구독
Issue Todaymore
딜슬롯무료게임플러스 B2C 구독
딜사이트S 베스트 전문가
딜사이트S 이벤트
인기 VOD
인기 V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