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박민석 기자]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보다 3.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산업활동 회복과 이동수요 증가로 배출량이 늘었다.
[박민석 기자] 28일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서흥원)는 2021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을 공개했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코로나 이후 산업 생산 활동이 회복되면서 증가했다. 다만 국내 배출량 증가율(3.5%)은 세계 평균(5.7%)과 주요국 증가율(미국 6.2%, 유럽연합 7%, 중국 4.8%)보다는 낮았다.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 지표인 ‘국내총생산(GDP) 당 배출량’은 356톤당 10억원으로 2011년 이후 점차 개선되고 있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4% 증가했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보다 낮은 3.5% 증가했다.
분야별 배출량은 에너지 분야가 86.9%(5억9060만톤)을 차지했다. 이어 산업공정 7.5%(5100만톤), 농업 3.1%(2120만톤), 폐기물 분야가 2.5%(1680만톤) 순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분야는 제조업·발전·수송부문을 중심으로 생산량과 연료 소비 증가로 배출량이 지난 2020년에 비해 3.6%늘었다.
제조업 부문에서는 화학 580만톤(12.4%↑), 철강 440만톤(4.7%↑) 등 전체 배출량이 1270만톤(7%)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화학부문은 경기회복과 설비 증설에 따라, 생산량 증가로 이어져 에너지 분야에서 배출량이 가장 많이 늘었다.
발전 부문은 산업활동 회복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로 전년도에 비해 400만톤(1.8%↑) 늘었다.특히 전년 대비 발전량은 4.5% 늘었으나, 탈석탄 정책과 LNG,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에 따라 배출량은 오히려 감소했다.
수송 부문은 이동수요 증가로 전년 보다 배출량이 160만톤 증가(1.7%↑)한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유·경유 소비량이 각각 5%와 1% 증가했고,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은 7% 증가했다.
상업‧공공‧가정 부문은 연초 한파 등의 영향으로 도시가스 사용이 늘어(2%↑) 배출량이 전년 보다 60만톤 증가(1.4%↑)한 것으로 추정됐다.
산업공정 분야 배출량은 시멘트·반도체 등 생산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 보다 5.2% 증가한 5100만톤으로 조사됐다.
한편, 농업 분야는 가축 사육두수 증가와 경작면적 감소의 상쇄로 전년 대비 0.9% 증가한 2120만톤 수준으로 집계됐다.
폐기물 분야는 폐기물 발생량 증가에도 재활용 증가 및 누적 매립량 감소 영향으로 전년 대비 1.6% 감소한 1680만톤을 배출한 것으로 예상됐다.
서흥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2021년에는 그간 코로나19로 위축되었던 산업활동이 회복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소비가 증가했고, 국내에서도 발전량 증가, 산업생산 활동 회복, 수송용 연료 소비 증가 등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 확정통계는 내년도 하반기 중 나올 예정”이라며 “추정치와 확정통계 오차범위는 1%정도이기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저액 배팅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