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김성아 기자] 지난해부터 폭등하고 있는 소비자 물가에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내놓았다. 정부는 치솟는 물가에 ‘긴급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를 내놓으면서 천정부지로 오른 밥상물가를 잡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유통업계는 실효성에 우려를 표하면서도 “없는 것 보단 낫다”는 입장으로 정책의 효과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김성아 기자]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긴급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 중 ‘생활·밥상물가 안정’ 분야에서 △돼지고기·해바라기씨유·나프타 등 14개 품목 할당관세 0% 적용 △김치·장류 등 부가가치세 면제 및 농축수산물 할인쿠폰 지급 △밀가루 가격·비료 매입비 지원, 농산물 의제매입 세액공제 확대 등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돼지고기·식용유·커피 등 생활 밀착형 식료품, 기호식품의 수입 원가를 낮춰 실질적으로 서민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완화하겠다는 취지다. 특히 밀가루, 대두유, 돼지고기 등 외식물가 오름세를 이끈 주요 원자재에 대해 물량 제한 없이 올 한 해 0% 할당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최대 25%에 이르렀던 돼지고기의 관세를 0%로 낮춘다면 원가 인하 효과는 최대 20%에 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유통가는 이번 정부의 정책에 기대와 함께 실효성에 대한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 특히 식품 제조업계의 경우 당장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눈치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하반기를 목전에 두고 있는 상황에 웬만한 규모의 제조업체는 단가 문제 등으로 인해 원자재를 대량으로 계약해 뒀을 것”이라며 “앞으로의 것에 대해 관세를 낮추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 남아있는 물량을 빠르게 소진한다 하더라도 실제 물가 수준에 영향을 주기까지는 꽤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한다”고 귀띔했다.

공급사슬의 윗선에 놓인 제조업계가 효과의 시차를 논하면서 자연스레 도매상, 소매상 격인 유통업계, 외식업계 또한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진 않았다. 한 마트업계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정부 대책 발표 이전에도 마트업계는 물가 상승세 파급효과 방지를 위해 상품 대량 매입, 비축 분량 방출부터 마진율까지 줄이면서 기존 소비자가격을 유지하고자 애썼다”며 “상품을 납품하는 제조업계가 당장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했다면 유통업계까지 효과가 미치는데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마트업계는 원자재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예고한 돼지고기, 과일 등에 대해 매입량을 늘리면서 기존 가격을 유지했다. 롯데마트의 경우 축산MD가 경배 매매참가인 자격을 갖추고 매주 직경매에 참여하는 등 유통 단계에서의 비용 증가를 최소화하기도 했다.
그래도 장기적으로 효과는 분명히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부의 대책안에는 주요 품목에 대한 할당관세는 물론 관세 과세가격 결정에 적용되는 환율을 하반기 중 기존 ‘외국환매도율’보다 1% 낮은 수준에서 결정되는 ‘기준환율’로 변경하겠다는 약속도 담겨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우크라이나 사태 등 글로벌 공급망 차질 효과가 내년 등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정부의 이러한 결정은 계속해서 오르고 있는 물가의 브레이크를 걸어주는 효과를 낼 것”이라며 “업계 또한 정부의 대책 덕분에 더 다양한 해결책을 강구하고 또 시도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모바일 슬롯머신 무료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