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리뷰 이진실 기자] 저축은행 업계의 올 3분기 순손실이 확대되는 등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부실채권 매각으로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는 전반적으로 안정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9일 저축은행중앙회는 전국 79개 저축은행 업계의 올 3분기 당기순손익은 363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1546억원)과 비교했을 때는 손실 폭이 2090억원 확대되며 적자 상태가 심화된 모습을 보였다. 다만 전분기(3894억원)에 비해서는 258억원의 손실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회는 수신금리 안정화에 따라 이자비용이 감소했으나, 여신 축소에 따른 이자수익 감소와 대손충당금 전입액 증가 영향으로 손실이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총자산은 122조원으로 전분기(120조1000억원) 대비 1.65%(1조9000억원) 증가했다. 여신 규모는 97조원으로 집계돼 전분기(98조원) 대비 1.1%(1조원) 줄었으며, 수신은 102조6000억원으로 전분기(100조9000억원) 대비 1.7%(1조7000억원) 늘었다. 올해 4분기 수신만기 대비를 위한 사전 예금유치 등의 영향이란 분석이다.
3분기 연체율은 8.73%로 전분기(8.36%) 대비 0.37%p(포인트) 상승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3.03%로 전분기(11.92%) 대비 1.11%p 올랐으며, 같은 기간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분기(4.80%) 대비 0.26%p 소폭 하락했다. 총여신 중 부실채권 비율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올 3분기 11.16%를 보였는데, 이는 전분기(11.53%) 대비 0.37%p 하락한 수치다.
중앙회 관계자는 "경기회복 둔화 등으로 거래자 채무상황능력 저하가 지속되고 있으나, 매각·상각 등 부실채권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자구노력을 통해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는 전반적으로 안정화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부실채권 매각 지연 등으로 자산건전성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경영상 큰 문제는 없다는 게 저축은행 업계의 입장이다. 자산유동성을 나타내는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은 15.18%로 법정 기준치(7%) 대비 2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유동성 비율도 135.84%를 보였는데, 법정기준 100%대비 35.84%p 초과한 수치다. 손실에 대비해 쌓아두는 대손충당금도 법정 적립률인 100%를 웃도는 114.07% 수준으로 쌓았다.
중앙회 관계자는 "올해 3분기에는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 및 수신금리 안정화에 따른 이자비용 감축을 통해 당기순이익을 시현하고, 건전성도 일정수준 내에서 관리했다"라며 "특히 4분기에 집중된 예금만기 대응을 위한 자금확보로 가용 유동성은 수신규모의 20% 이상을 유지하는 등 여유자금을 충분히 보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상반기 수준(약 1조6000억원) 이상으로 하반기에도 상각·매각을 통해 연체채권을 관리할 계획이다"라며 "연체사업장 및 사업 진행이 곤란한 사업장에 대해 경·공매 및 재구조화 등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리뷰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