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체험 박세현 기자] "인도는 '넥스트 차이나(Next China)'를 넘어 '비욘드 차이나(Beyond China)'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가전·자동차·헬스케어 등 업종별 중국 대표 기업과 가장 유사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는 '도플갱어' 인도 기업을 찾아 편입했습니다."
현동식 한국투자신탁운용 해외비즈니스본부장은 9일 오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ACE 인도 ETF(상장지수펀드) 신규 상장 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하며 "인도의 높은 성장세에 집중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2종의 인도 투자 액티브 ETF 상장을 앞두고 진행됐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오는 10일 'ACE 인도컨슈머파워액티브 ETF'와 'ACE 인도시장대표BIG5그룹액티브 ETF'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인도 시장에 투자하는 ETF를 액티브형으로 선보인 것은 아시아 시장에서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최초다.
현 본부장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14억 명 인구를 가진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국가는 인도"라며 "인도는 중국과 동일한 14억 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의 성장전략을 모방한 인도 모디 총리의 제조업 육성정책이 펼쳐지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과 유사한 발전 과정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어 "중국의 성장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인도의 성장업종을 선별했다"며 "소득이 늘면서 수요가 증가할 확률이 가장 높은 가전·자동차·헬스케어 등 자유소비재 업종과 경제 발전 시 반드시 필요한 인프라 업종이 대표적"이라고 강조했다.
신규 상장하는 ETF에 대해 현 본부장은 "ACE 인도컨슈머파워액티브 ETF는 자유소비재 업종에 ACE 인도시장대표BIG5그룹액티브 ETF는 인프라 및 재생에너지 업종에 특히 주목한 것이 특징"이라며 "각 부문별 중국 대표 기업과 가장 유사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는 인도 기업을 찾아내 편입했다"고 설명했다.
현 본부장은 약 27년 경력의 펀드매니저로 지난 2010년부터 2022년까지 12년간 한국투자신탁운용 상하이사무소장을 역임했다. 최근에는 중국 시장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활용해 '넥스트 차이나' 인도에 주목한 '인도 컨슈머 파워, 새로운 미래를 선점하라'를 출간한 바 있다.
한편 한국투자신탁운용 ACE ETF의 마케팅을 총괄하고 있는 김승현 ETF컨설팅담당은 "인도 시장이 넥스트 차이나로 거론되지만, 세계 1위 인구 대국이라는 점과 중산층의 증가세,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 등을 감안할 때 '비욘드 차이나'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성장하는 시장에 투자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떻게 투자하는가'로, 성장의 직접적인 수혜를 반영할 수 있는 성장 업종 중심 투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내에 이미 인도 시장에 투자하는 상품이 상장돼 있지만 액티브형으로는 ACE ETF가 최초"라며 "자유소비재 업종에 100% 투자하는 ACE 인도컨슈머파워액티브 ETF와 인도 경제 성장의 수혜를 누릴 5개의 대표 그룹 관련주에 집중 투자하는 ACE 인도시장대표BIG5그룹액티브 ETF를 혼합해 포트폴리오에 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체험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