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이호영 기자] 3분기에 별도 영업익이 흑자 전환하며 이마트가 본업 경쟁력 회복을 가시화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종류 이호영 기자] 이마트는 3분기에 별도 영업익이 지난해에 비해 52억원이 늘며 반등했다. 별도 영업익이 성장세를 보인 것은 지난해 4분기 이후 3분기만이다. 직전 2분기엔 영업 손실 258억원 가량으로 적자 전환했다가 다시 흑자 전환한 것이다.
이마트는 3분기 별도 기준 영업익 1102억원이라고 14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3분기에 비해 52억원이 늘어난 것이다. 이번 3분기 매출은 4조736억원 가량이다. 지난해에 비해 875억원이 줄었다.
이마트 별도 영업익이 성장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해 4분기 이후 처음이다. 이런 반등 배경엔 자체 물가 안정 기여 프로젝트 '더 리미티드' 등 고객 관점의 상품 혁신과 고객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점포 리뉴얼, 수익성 개선 노력에 다른 비용 효율화 등을 통한 본업 경쟁력 강화가 꼽힌다.
노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전문점은 수익성 위주의 사업 구조 재편 후 안정적인 실적을 거듭하고 있다. 3분기에 94억원의 영업익을 냈다. 누계 영업익은 285억원이다.
객수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할인점 이마트는 지난 2분기(5.5%)에 이어 3분기에도 객수가 5.8% 늘었다. 트레이더스는 1분기(1.3%), 2분기(3.2%)에 이어 3분기에는 6.2% 확대됐다. 고객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앞으로 추가 성장의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결 기준 실적은 신세계건설의 실적 부진이 아쉬웠다. 이마트의 연결 기준 3분기에 순매출은 7조7096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22억원 늘었지만 영업익은 228억원 줄어든 779억원을 거뒀다.
고금리와 원자재 가격 인상 등 원가 부담 증가로 인해 신세계건설의 영업익이 지난해에 비해 551억원이 줄어들며 영향을 줬다.
G마켓은 지속적인 수익성 강화 작업이 효과를 거두며 3분기 영업손실은 지난해에 비해 48억원이 줄어든 101억이다. 4분기에 손익분기점 달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조선호텔앤리조트와 신세계프라퍼티는 엔데믹 영향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조선호텔앤리조트의 3분기 영업익은 지난해보다 17억원 늘어난 149억원이다. 신세계프라퍼티는 84억원 늘어난 106억원이다.
이외 스타벅스가 지난해보다 232억원 늘어난 498억원, 신세계푸드가 35억원 증가한 78억원의 영업익을 내는 등 성장세를 이었다.
이마트는 향후 내실 있는 성장을 위해 신규 출점과 리뉴얼 등을 통한 외형 성장을 도모하는 한편, 수익성 강화에도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이마트·이마트24·이마트에브리데이 3개사의 기능을 통합해 매입경쟁력 강화를 중심으로 '오프라인 3사 원 대표 체제'의 시너지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G마켓은 고수익 상품 판매와 물류 효율화 등 적자폭 감소에 효과를 거두고 있는 수익성 개선 작업에 집중한다. SSG닷컴은 성장과 수익의 균형을 이루는 '균형 성장' 전략을 이어간다.
이마트는 "3분기엔 고객 관점에서의 상품 혁신과 점포 리뉴얼이 큰 폭의 객수 신장으로 이어지는 등 본업 경쟁력이 회복되는 긍정적 신호가 나타났다"며 "오프라인 3개사의 기능 통합을 본격화하고 구조적 쇄신 작업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4분기엔 쓱데이와 개점 30주년 기념 행사 등 이마트가 공들여 준비한 연말 대형 행사가 이어져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종류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