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이호영 기자] 대웅제약이 붙이는 비만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잭팟 당첨 이호영 기자] 대웅제약은 'GLP-1 유사체'를 탑재한 마이크로 니들 패치 형태의 비만치료제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6일 밝혔다.
1cm² 초소형 패치를 팔∙복부 등에 부착하는 마이크로 니들 방식은 주사∙경구 등 기존 비만치료제에 비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것으로 평가 받는 첨단 제형이다.
대웅제약은 내년 초 임상 1상을 시작, 2028년 상용화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대웅제약이 준비 중인 마이크로 니들 비만치료제는 팔∙복부 등 각질층이 얇은 부위에 1주일에 한 번 붙이기만 하면 된다. 신경 세포를 건들지 않아 통증이 없다. 기존 주사제와 비교할 때 약효도 동일하다. 상온 보관할 수 있어 주사제처럼 유통 과정에서 콜드 체인 시스템도 필요 없다. 몸에 부착된 마이크로 니들은 미세 혈관을 통해 GLP-1 약물을 전달한다.
현재 GLP-1 유사체를 활용한 비만치료제의 대세는 '피하 주사제'다. 1일 1회나 1주 1회 주사 제품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 제품은 반드시 냉장 보관해야 한다. 또 환자가 직접 주사를 투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온에 장시간 노출되면 약효가 떨어지기도 한다. 경구제 비만치료제는 생체 이용률이 1% 정도로 흡수율이 매우 낮고 구토나 메스꺼움, 설사 등 부작용이 있다.
대웅제약은 앞서 연구·개발(R&D) 전문 계열사 대웅테라퓨틱스를 통해 자체 플랫폼 '클로팜'을 활용한 GLP-1 유사체 '세마글루타이드' 계열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대한 비임상을 완료하고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후 기술 이전을 통해 대웅제약이 내년 초 임상 1상을 시작한다.
대웅테라퓨틱스의 자체 마이크로 니들 기술 플랫폼 클로팜은 제조, 포장 등 분야에서 국제 특허(PCT) 6건, 국내 특허 23건(등록 5건)을 출원할 정도로 차별화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대웅이 비만치료제 제형으로 선택한 마이크로 니들은 체내 투입 후 녹으면서 약물을 방출하는 용해성 타입이다.
비만치료제의 게임 처인저로 시장에서 각광받는 'GLP-1 유사체'는 음식을 섭취하거나 혈당이 올라갈 때 소장에서 분비되는 인크레틴 호르몬 'GLP-1'과 유사한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이다.
GLP-1 유사체는 약 2분에 불과한 호르몬 GLP-1의 반감기를 늘렸다. 식욕을 억제하는 동시에 위장관의 연동 운동을 늦춰 음식물이 장내에 오래 머물도록 해 포만감을 지속시킨다. GLP-1 유사체는 인슐린 분비 증가 등 기전으로 당뇨 치료제로도 널리 처방되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이 2030년까지 104조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웅제약은 2028년 상업화를 계획하고 있다. 기존 제형의 모든 단점을 보완한 마이크로 니들 비만치료제가 출시될 경우 비만치료제 시장에 상당한 격변이 예상된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의학계에서는 환자의 치료 순응도가 앞으로 GLP-1 제재의 주요 허들(장애)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환자들이 체중 감량을 유지하려면 GLP-1 유사체를 계속 복용해야 하는데 주사제 투약을 중단하면 식욕이 돌아오고 체중이 다시 늘기 때문이다. 대웅제약은 1주 제형 마이크로 니들은 이런 허들을 혁신적으로 해결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대웅제약은 지난해 '2030 글로벌 제제 넘버원' 비전을 선포하고 신규 투여 경로 기술인 마이크로 니들에 집중하고 있다"며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GLP-1 유사체의 패치형 제형 개발로 의료진과 환자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번 마이크로 니들 비만치료제의 비임상까지 과정을 맡은 대웅테라퓨틱스는 대웅그룹의 의약학 R&D 전문 계열사다. 2019년 2월 설립됐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잭팟 당첨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