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김현일 기자]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과 지동섭 SK온 대표이사 등 국내 배터리 리더들이 최근의 글로벌 전기차 위기에 대해 ‘괜찮다’는 견해를 피력해 눈길을 끌고 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롤링 김현일 기자] 권 부회장은 지난 1일 자신이 회장으로 있는 한국배터리산업협회(KBIA) 주최 ‘제3회 배터리 산업의 날 기념식’에서 “배터리는 놀라운 산업”이라며 “어마어마하게 많은 국가에서 주목하고 있고, 이렇게 고도 성장하는 산업이 있을까 (모르겠다). 전무후무할 것 같다”라며 개회사를 시작했다.
그는 이어 “항상 일본이나 미국이 앞서가다가 뒤늦게 한국이 참여해 마켓 리더가 되는 경우는 많지만, 대한민국이 초기에 마켓 리더 포지션을 차지한 산업은 제가 알기론 없다”며 “사업을 하며 항상 옳은 사업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참 많이 했는데 배터리는 인류 건강과 환경에 기여하는 옳은 사업이라는 점에서 굉장히 기쁘다”고 소감을 피력했다.
이날 행사는 국내 배터리 업계의 누적 수주잔고 1000조원 돌파를 기념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권 부회장은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수주잔고가 합산 1000조원을 돌파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숫자 1000조원 하면 감이 안 오는데 어마어마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최근 전기차 수요 둔화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 그는 “국내 3사 예외 없이 (전기차) 수요 감소를 겪고 있을 텐데, (오히려) 잘됐다”며 “원래대로 갔으면 돈이 문제가 아니라 공장 짓는 인력이 도리어 감당이 안 되는 수준이었다. 급히 성장하다 보니 간과한 여러 것들이 있는데 이런 것들을 다지다 보면 K-배터리가 한 번 더 도약할 수 있는 시기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권 회장은 “배터리는 모든 사람이 관심을 두고 좋은 사업이다 보니 경쟁이 심화할 수밖에 없다”며 “경쟁이라는 건 더 단단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저는 '위기를 기회'라는 말을 자주 한다. 지금 배터리 사업은 마라톤 42.195km 중 4km 뛰었다. 지금부터 경쟁에 자신감을 갖자”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장에서는 지동섭 SK온 대표이사에게 배터리 업계 최초로 은탑산업훈장이 수여되기도 했다.
지 대표의 수상은 국내 배터리 산업 성장을 주도한 공로를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그는 누적 기준 290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글로벌 수주를 실현하고, 지난 2019년 6903억원이었던 배터리 사업 매출액을 2022년 7조6177억원으로 11배 이상 끌어올리는 등의 성과를 올렸다.
지 대표는 지난 2019년 부임한 이래 미국 3곳(조지아,테네시,켄터키), 유럽 2곳(헝가리 코마롬,이반차), 중국 3곳(창저우,후이저우,옌청)에서 공장을 가동·건설하며 글로벌 생산 체계를 공고히 했다. 이렇게 세운 해외 생산기지에는 90% 이상 국산 설비를 도입했고, 최근 3년간 국내에서 2481명을 추가 고용하며 국내외 배터리 산업 생태계 발전에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지난달 미국 유력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은 ‘세상을 바꾸는 혁신 기업 (Change the World)’ 선정에서 SK온을 공동 1위에 올려놓기도 했다. 이는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 중 역대 최고 순위에 해당한다.
지 대표는 수상 후 기자들과 만나 “저 개인보다는 직원들이 그동안 노력해 온 것에 대해 인정을 해주고 앞으로 더 열심히 하라는 격려가 아닌가 생각한다”라며 “앞으로 한국 배터리가 세계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는 데 더욱 열심히 매진하도록 구성원들과 힘을 모아 나가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최근의 전기차 위기에 대해서는 권 부회장과 마찬가지로 “다시 도약할 좋은 기회”라며 “고금리 상황에 전기차를 리스로 구매하는 수요가 줄면서 내년 하반기까지는 전기차 수요 둔화 출렁임이 있을 것 같다”며 “다만, 중장기적으로 시장은 더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롤링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