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슬롯머신 무료게임 현금 게임
슬롯머신 무료게임 현금 게임
슬롯머신 무료게임 현금 게임
뉴스
Site Map
딜사이트 in 월가
매주 월~금 07:00
출발! 딜사이트
매주 월~금 08:00
머니 마스터
매주 월~금 10:00
애프터 월가
매주 월~금 12:00
기간 설정
딜사이트슬롯머신 무료게임 현금 게임 플러스 오픈
[신간] '바이오사이언스의 이해' 개정2판
황재희 기자
2023.11.01 16:10:25
'신약개발 개념입증(PoC)을 중심으로'
글로벌 제약·바이오테크 신약개발 과정
의료AI·유전자 편집·디지털 치료제 등
바이오슬롯머신 무료게임 현금 게임언스의 이해 개정 2판이 출간됐다. /사진=바이오스펙테이터
바이오사이언스의 이해 개정 2판이 출간됐다. /사진=바이오스펙테이터

[데일리임팩트 황재희 기자]"인공지능(AI)은 의료 인력을 대체할 수 있을까? AI가 개발한 첨단 신약이 더 많은 환자에게 새로운 삶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까?"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현금 게임 황재희 기자] 신간 '바이오사이언스의 이해-신약개발 개념입증(PoC)을 중심으로'를 쓴 저자 김성민, 신창민은 이에 대해 "AI가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데는 어떤 가치를 가질 수 있는지 이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답한다.


2017년 첫 선을 보인 '바이오사이언스의 이해'가 지난 2019년 9쇄를 끝으로 절판된 뒤 '신약개발 개념입증(PoC)을 중심으로'라는 새로운 부제를 달고 4년 만에 다시 돌아왔다.


저자는 신약 개발에 있어서 '개념입증'에 주목한 이유에 대해 "통제된 연구실 과학의 단계를 벗어나 현장에서 구체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에 따라 이번 책에서는 글로벌 제약기업들과 국내외 바이오테크들의 신약개발 과정을 쫓아가면서 아이디어와 가설에서 시작해 개념입증 단계까지 끌고 가는 연구자들의 여정과 현장에서의 노력을 집중 조명한다.


특히 의료 AI와 AI신약개발 등 최첨단 이슈에서부터 바이오시밀러·유전자 편집·알츠하이머 치료제·디지털 치료제 등 글로벌 신약개발 연구 동향과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한 점이 눈에 띈다.


총 648페이지의 방대한 양을 자랑하는 이 책의 큰 주제는 인공지능(AI), 항체 치료제, 면역 항암제, RNA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가능해진 개념, 탐색 등 7개로 나뉜다.


7개의 큰 주제 아래 2023년 기준 신약개발 과정에서 개념입증 단계를 넘었거나 곧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17개의 소주제들이 차례로 담겨 있다. 주요 이슈는 의료AI·AI신약개발·이중항체·바이오시밀러·유전자 편집·비만 치료제·표적 단백질 분해·마이크로바이옴·디지털 치료제 등이다.


이 책의 1부에서는 의료계와 제약계의 가장 뜨거운 논쟁 거리인 의료AI, 항체 치료제, 면역 항암제 등을 다루고 있다. AI를 통해 신약개발에 들어가는 천문학적인 규모의 개발비와 개발 기간이 단축되는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2부에서는 개념입증까지 오랜 과정이 걸렸던 이중항체와 항체-약물접합체 등의 사례와 한국이 개념입증 후 시장을 개척한 바이오시밀러 분야의 바이오테크들을 만날 수 있다.


3부는 암 치료와 관련 상수로 여겨지는 면역 항암제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기업과 바이오테크가 어떻게 면역관문억제제와 CAR-T 세포치료제의 개념입증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 추적하고, 국내 제약기업와 바이오테크의 기회 요인을 모색해본다.


4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백신 개발로 개념입증에 성공한 RNA 치료제에 대해 다루며 신약개발에 있어서 개념입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이어 5부에서는 유전자 치료제와 관련 있는 개념입증 사례를 점검하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바이오사이언스의 이해 개정2판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6부와 7부다. 비만,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알츠하이머병 등은 이 책의 초판이 나올 당시 치료제 개념이 정립되기 전이었으나, 2020년대에 들어오며 개념입증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어 이에 대해서도 페이지를 할애했다. 이와 함께 가까운 미래에 개념입증에 성공하고 신약으로 개발될 마이크로바이옴, 디지털 기기와 IT환경 등을 활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디지털 치료제의 가능성도 탐색해본다.


이 책을 쓴 두 명의 저자 김성민, 신창민은 바이오·제약 전문 매체인 바이오스펙테이터 출신 기자다. 김성민 선임기자는 '바이오사이언스의 이해' 초판 공동 저자로 참여했고, 다수의 신약 개발 관련 저서를 집필했다. 신창민 바이오스펙테이터 기자는 발생유전학을 전공했다.


두 저자는 집필 과정에서 관련 논문을 비롯해 380여개 데이터를 살펴보고 바이오스펙테이터에 실렸던 기사 내용을 다시 검증하고 정리하는 등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덕분에 이 책을 통해 규제기관으로부터 시판허가를 얻는 데 성공한 74개 의약품의 개념입증 뿐 아니라 올 하반기 기준 진행중이거나 진행이 예정된 임상시험 데이터도 살펴볼 수 있다.


저자가 신약개발에 참여하는 연구자들과 과학자들의 여정을 추적하며 밝힌 소회는 우리에게 '신약개발 전략의 정체가 과연 어디에 있는지' 다시 한번 질문하게 한다.


"이들의 여정은 자신의 연구는 물론 다른 이들의 연구를 들여다보는 데 게을리하지 않고, 연구실에 머물지 않고, 의료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들과 직면하기를 주저하지 않으며, 무엇보다 과학에 대한 믿음으로 투자자와 시장과 스스로를 설득해가는 과정이었다. 이 과정은 과학 앞에 지나치게 솔직하고, 투박하며, 우직한 사람들의 여정이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현금 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딜슬롯머신 무료게임 현금 게임트플러스 안내-2

ON AIR나 혼자 쩜상 2부

2025 건설부동 포럼
Issue Todaymore
2025 건설부동 포럼
딜사이트S 베스트 전문가
딜사이트S 이벤트
인기 VOD
인기 V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