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심민현 기자]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의 구속영장이 또 기각됐다. 박 회장은 새마을금고중앙회 펀드 출자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과정에서 1억원 넘는 뒷돈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게임 심민현 기자] 18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동부지법은 전날 박차훈 회장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심사)를 한 뒤 검찰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박 회장의 구속영장이 기각된 것은 지난 8일에 이어 두 번째다.
검찰은 지난 3월부터 새마을금고 사모펀드(PEF) 출자 과정과 관련 수사를 하고 있으며 박 회장 자택과 사무실을 전격 압수수색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특혜 의혹이 제기된 자산운용사 아이스텀파트너스 측이 박 회장에게 1억원 넘는 뒷돈을 건넨 것으로 판단했다.
검찰은 박 회장의 금품수수 정황을 포착하고 지난 3일 그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한 뒤 이튿날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하지만 법원은 지난 8일 “지금까지 수집된 객관적 증거에 의하면 범죄 사실 중 상당 부분 혐의가 어느 정도 소명된다고 보인다“며 “박 회장에게도 방어권을 보장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며 검찰의 영장 청구를 기각했다.
검찰은 지난 14일 박 회장을 다시 불러 보강 조사하고 이튿날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수재 혐의로 재차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은 박 회장이 금품을 먼저 요구한 데다 사건 관련자들에게 허위 진술을 종용하는 등 증거인멸을 시도한 정황도 있어 구속수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영장이 거듭 기각됨에 따라 그를 불구속 기소하는 선에서 수사를 마무리할 가능성이 커졌다. 일각에선 검찰의 무리한 영장 청구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편 앞서 박 회장의 ‘오너 리스크‘로 인해 지난달 뱅크런 사태 이후 안정을 되찾은 새마을금고가 다시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불안이 높아진 바 있다.
다만 업계 일각에선 개인의 비리일뿐 박 회장의 문제가 새마을금고 전체의 위기로 확산될 확률은 낮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여전히 ‘범정부 새마을금고 실무지원단‘을 파견해 운영 중이고 회장 구속과 새마을금고 건전성은 전혀 별개의 문제라는 것이다.
결국 박 회장이 구속될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새마을금고의 재위기설은 조기에 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새마을금고 관계자 역시 데일리임팩트에 “현재 새마을금고 수신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