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 포스코퓨처엠이 하이니켈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양극재 생산 능력을 5만톤 이상 확대한다.
[변윤재 기자] 25일 포스코퓨처엠에 따르면, 전날 이사회를 열고 2025년까지 6834억원을 투자해 전남 광양 율촌 제1산업단지에 연산 5만2500톤 규모로 하이니켈 NCA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공장은 내년 상반기 중 착공해 2025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한다.
NCA 양극재는 망간 대신 알루미늄을 첨가해 제조한다. 배터리 밀도와 출력이 높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소재인 까닭에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높다. 그동안 포스코퓨처엠은 니켈·코발트·망간(NCM) 양극재에 주력했다. 주 고객사인 LG에너지솔루션, SK온 때문이다. 지난 1월 삼성SDI와 40조원 규모의 NCA 양극재 공급 계약을 맺으면서 생산력을 증대할 필요성이 커졌다.
올 4월 포항 공장(3만톤 규모)에 이어 두 번째 NCA 양극재 투자에 나섬에 따라, 포스코퓨처엠은 공장이 준공되는 2025년 하반기에는 연 8만톤의 상산능력을 갖출 전망이다.
또 니켈·코발트·망간(NCM)과 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NCMA)에 이어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양극재 시장 내 입지를 넓힐 예정이다. 기존 NCM, NCMA 생산능력은 24만톤, 여기에 NCA 증설분을 더하면 포스코퓨처엠의 전체 양극재 생산 능력은 32만톤으로 늘어나게 된다. 전세계 양극재 수요를 다양하게 흡수할 기반이 다져지는 셈이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2012년 양극재 사업에 진출한 이후 NCM·NCMA 시장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며 "NCA 투자도 강화해 글로벌 양극재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 전기차 시장은 지속 성장해 2030년에는 총생산량 4830만대에 달할 전망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이 같은 성장 추세에 발맞춰 2030년까지 양극재 생산능력을 100만톤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포스코퓨처엠은 이차전지소재산업 컴플렉스를 조성했다. 전남 광양 율촌 산단에는 단일 공장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인 연산 9만톤 규모 하이니켈 양극재 공장과 리사이클링 사업을 하는 포스코HY클린메탈이 자리해있으며,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도 올해 완공을 앞두고 있다. 향후 NCA 양극재 공장이 들어서면 이차전지 소재 사업 시너지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포스코퓨처엠이 2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한 가운데 추가 투자를 단행함에 따라 회사의 주가도 상승세다. 전날 장중 55만원대까지 상승하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던 포스코퓨처엠은 이날 오전 60만3000원을 기록했다. 전장 대비 11.25% 상승한 것으로, 시가총액이 45조원을 넘어서며 현대차를 제치고 시총 8위로 올라섰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저액 배팅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