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박민석 기자] 올해 국내 금융기관 중 신한은행과 DB생명보험, KB국민카드가 금융소비자보호 수준이 가장 높았다. 반면 KDB생명보험은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민석 기자] 21일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금융소비자보호실태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올해 실태평가 대상은 총 30개 금융기관이었으며, 평가 결과 ‘양호’ 3개사, ‘보통’ 26개사, ‘미흡’ 1개사로 나타났다.

실태평가 결과 금소법 시행 후 대형사에 이어 중소형사에서도 소비자보호체계를 구축해 '미흡' 등급 회사는 지난해 3개사에서 올해 1개사로 줄었다.
‘양호’ 등급에는 신한은행, DB생명, KB국민카드 3개사가 이름을 올렸다. 반면 KDB생명은 종신보험 불완전판매와 소비자보호 내부통제 개선이 지연되면서 2년 연속 ’미흡‘ 등급을 받았다.
업권별로는 은행업권은 신한은행을 제외한 광주·대구·수협·우리·케이뱅크 등 5개사가 모두 '보통' 등급을 받았다.
생명보험업에서는 '양호' 등급의 DB생명과 '미흡' 등급의 KDB생명을 제외한 농협·라이나·한화·ABL·AIA·DGB 등 6개사가 '보통'으로 평가됐다.
생명보험업권의 경우 '금융상품 판매단계에서 준수해야 할 기준 및 절차' 항목 등이 다른 업권에 비해 양호했다.
손해보험업권은 서울보증·엠지손보·현대해상·흥국화재 등 4개 손해보험사 모두 '보통' 등급을 받았다. 비계량부문 중 '임직원에 대한 금융소비자보호 교육 및 보상체계 운영' 항목 등이 다른 업권에 비해 비교적 낮았다.
카드·여전 업권에서는 KB국민카드는 '양호', 롯데카드·BMW·파이낸셜·KB캐피탈 등 4개사가 '보통' 등급을 받았다. 비계량부문 중 '금융소비자 내부통제체계 구축 및 이의 운영을 위한 전담조직·인력' 항목 등이 다소 부진했다.
증권업권에서는 대신·신한투자·NH투자증권 등 3개사가 모두 '보통' 등급을 받았다.
금감원은 "소비자보호체계 구축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면서 비계량 항목에서 '미흡' 등급이 없는 등 전반적으로 향상됐으나 사모펀드 사태, 전산장애 등으로 인한 지속적인 민원 발생으로 계량부문이 타 업권에 비해 부진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업권에서는 다올·신한·오케이·하나·JT친애저축은행 등 5개사 모두 '보통'을 받았다. 소비자보호에 대한 인적·물적 자원 투입 여건이 다른 업권에 비해 좋지 않았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지속적으로 민원이 발생하고 소비자보호체계 개선이 미진한 KDB생명은 CEO와 이사회가 중심이 돼 민원감축과 개선계획을 마련해 조속히 이행토록 지도하겠다"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안전 슬롯머신 무료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