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안광석] 삼성SDI(대표이사 사장 최윤호)가 고부가제품 판매 확대에 힘입어 사상 최대 분·반기 실적을 기록했다.
[안광석 기자] 삼성SDI는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조7408억원, 영업이익 4290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발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인 데다, 영업이익 4000억원 돌파는 사상 최초다. 상반기 실적으로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분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2.2%, 영업이익은 45.3% 늘었다.
가장 비중이 큰 에너지 부문 매출은 4조716억원으로 전년보다 50.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449억원으로 전년보다 45.2% 늘었으고 영업이익률은 6%를 기록했다.
중대형 전지 매출이 증가했고 수익성도 개선됐다. 자동차 전지는 견조한 수요 성장 속에서 ‘젠5’ 등 고부가 제품 판매가 확대됐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지는 전력용 판매 확대로 매출이 증가했고 원소재가 상승분이 판가에 반영돼 수익성도 개선됐다.
소형 전지의 경우 원형 전지를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했고 수익성도 향상됐다. 원형 전지는 전기차 및 고출력 전동공구향을 중심으로 매출이 성장했다. 단 파우치형 전지는 IT 제품 수요 둔화와 하반기 신제품 대기수요 영향을 받아 매출이 감소했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669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늘었다. 영업이익은 1841억원으로 전년보다 45.5% 증가했다.
올레드(OLED) 소재는 신규 플랫폼향으로의 공급이 시작돼 매출이 확대됐다. 반도체 소재는 전분기 수준의 매출을 유지했다. 편광필름은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제품을 중심으로 판매를 확대해 수익성을 유지했다.
삼성SDI는 하반기 중대형 전지는 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판매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자동차 전지는 헝가리 2공장 가동으로 젠5 배터리 판매가 본격화되고 차세대 플랫폼의 수주 활동도 지속할 계획이다. ESS 전지는 고유가 상황과 친환경 정책 확대로 신재생 에너지 수요 증가 영향을 받고 전력용 ESS 신제품 출시로 판매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소형 전지는 모빌리티용을 중심으로 판매 성장이 전망된다. 원형 전지는 전기자동차 및 전기자전거 등 모빌리티용 판매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신규 전기차 프로젝트 대응을 위한 ‘46파이’(Φ, 지름46mm) 라인도 구축 중이다.
전자재료는 OLED와 반도체 소재를 중심으로 판매 확대가 기대된다. 삼성SDI는 OLED 소재의 주요 고객향으로 판매를 확대하고 차기 플랫폼 진입도 추진 중이다. 반도체 소재는 신제품 적기 출시를 통해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편광필름은 고객 다변화를 통해 전방 수요 감소에 대응할 방침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차세대 플랫폼과 전고체 전지 등 미래 성장 기반을 확고히 구축해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심볼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