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 LG유플러스가 세계적 통신장비 제조업체 노키아와 손잡고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에 나선다.
[변윤재 기자] LG유플러스는 6일 노키아와 5G 어드밴스드와 6G 분야 연구개발 협력을 강화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LG유플러스와 노키아는 LTE, 5G 네트워크 등에서 협력해왔다.
양사는 5G 어드밴스드와 6G에서 본격화될 네트워크 구조 확장, 주파수 확장, 서비스 공간 확장 기술 개발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다. 주요 기술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새로운 기술 발굴도 추진한다. 5G 품질 고도화와 6G 준비를 병행하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6G와 관련, 선행기술 개발과 검증을 강화할 방침이다. 대표적인 기술이 오픈랜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오픈랜과 같이 이동통신 무선접속망을 구성하는 기지국 등 무선 통신장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제조사 장비 간 연동을 구현하는 표준기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양사는 오픈랜 관련 주요 기술인 개방형 프론트홀, 클라우드 RAN, 무선접속망 지능형 컨트롤러(RIC) 등에 대한 공동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오픈랜 기술이 상용화되면 네트워크 구축이 유연해지는 만큼, 산업계의 기술 혁신을 유발할 것으로 전망했다.
6G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기술 중 하나인 에너지 하베스팅 연구도 진행한다. 에너지 하베스팅은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사용하는 기술로, 양사는 신기술인 액체 냉각 기지국의 기술적 효용성과 활용 방안도 공동 연구할 예정이다.
6G 주파수 확장 기술 확보를 위해 차세대 안테나 기술인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RIS) 관련 공동 연구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6G 주파수로 부각되는 테라헤르츠파 RIS 기술에 집중한다. 양사는 6G 선행기술 검증 목적으로 필드 시험을 진행했다.
6G 서비스 공간 확장 기술 확보를 위해 비지상네트워크(NTN) 관련 공동 연구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NTN은 바다나 외딴 섬, 상공 등에도 일반적인 셀룰러 네트워크와 유사한 품질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앞서 LG유플러스는 한국과학기술원과 양자컴퓨터 D-wave를 통한 저궤도위성의 네트워크 최적화 연구를 진행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당첨금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