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데일리임팩트 이진명 기자] 전북 임실군은 공공형 계절근로 운영에 대한 타 지자체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벤치마킹을 위한 방문과 문의 전화가 쇄도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이진명 기자] 올해 초 농림축산식품부는 일손부족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4개 지자체(전북 무주, 전북 임실, 충남 부여, 경북 고령)에 외국인 계절 근로자 320명 투입을 결정했다.
공공형 계절근로제는 지자체가 선정한 농협이 외국인 계절 근로자를 고용해 1개월 미만의 단기 근로인력이 필요한 농가에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농축산부는 1개월 미만의 단기 근로인력이 필요한 농가에 노동력을 제공하는 방식의 공공형 계절 근로 시범 사업을 도입했다.
시범 사업을 통해 임실군은 베트남 근로자 30명을 도입 운영 중이다.
최근 강원도청과 원주, 삼척, 화천 3개 지자체에서 임실군을 방문해 공공형 계절근로 운영사례 벤치마킹 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에서는 공공형 계절근로 시범사업 추진 배경, 진행 절차, 운영사례 등에 대한 토론으로 해당 사업에 대해 타지자체의 관심도가 높아 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군에 따르면 고령화 및 일손 부족으로 큰 어려움을 겪는 지역 농가에 외국인 계절근로자 정책이 농가 인력난 해소에 크게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하반기에도 40여 명 안팎의 베트남 외국인 계절근로자 추가 도입을 계획 중이며 베트남 지자체와의 자매 결연을 맺어 연간 200명까지 외국인 근로자 도입을 확대해 나갈 준비작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심민 임실군수는 데일리임팩트에 “임실군 공공형 계절근로 운영에 대한 높은 관심에 매우 감사함을 느낀다”며“임실군이 선도적으로 추진하는 만큼 귀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공공형 계절 근로제는 해당 지자체가 선정한 농협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 급여를 지급 하고, 내국인 작업반장을 포함한 영농작업반을 구성해 단기 근로인력이 필요한 농가에 노동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지자체는 계절 근로자가 체류 하는 기간 동안 숙소등을 마련하고 사업에 참여하는 농가를 순회하며 농가는 사전에 지자체와 농협과 농가가 협의 산정한 이용료를 농협에 지불하면 된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환수율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