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 설 연휴 마지막날인 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만명을 넘겼다. 국내 신규 확진자가 2만명을 돌파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를 고려하면 연휴 이후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변윤재 기자]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는 2만270명, 누적 확진자는 총 88만4310명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26일 1만명대를 넘긴 지 일주일 만에 확진자 수가 2만명대로 뛰었다.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2만111명이고, 해외유입이 159명이다. 경기 지역 신규 확진자가 처음으로 6000명을 넘겼고, 비수도권 지역발생 확진자도 8000명을 넘어서며 확산일로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 6018명, 서울 4186명, 인천 1396명으로 수도권(총 1만1600명)이 전체 지역발생 신규 확진자의 57.7%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 1260명, 대구 1141명, 경남 893명, 충남 881명, 경북 771명, 전북 648명, 광주 614명, 대전 479명, 전남 464명, 충북 455명, 강원 350명, 울산 296명, 세종 139명, 제주 120명 등 8511명(42.3%)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159명으로 전날(220명)보다 61명 줄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의 의심환자 검사 건수는 5만8395건, 임시선별검사소의검사 건수는 15만2803건으로, 총 21만1198건의 검사가 이뤄졌다. 이에 검사 양성률은 8.9%로 전날(9.3%)보다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전달 초중순과 비교하면 3배 가량 높다.
특히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이 2배 이상 강한 오미크론 변이가 지배종으로 자리잡았다. 지난주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중 오미크론 변이가 검출되는 비율이 80%에 달했다. 설 명절 가족모임 등으로 이동과 대면 접촉이 많아진 점을 감안할 때, 검사량이 정상화되는 연휴 이후 확진자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신규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치명률은 낮아졌다. 이날 위중증 환자는 278명으로 전날보다 6명 적다. 사망자는 15명 늘어 누적 6787명이 됐다. 지난달 0.91%에 달했던 치명률은 0.77%가 됐다.
방역당국은 전파력은 강하나 중증화 위험은 낮은 오미크론의 특성을 고려해 3일부터 새로운 진단검사 체계를 전국적으로 전면 시행한다.
전국 선별진료소에서는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만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을 수 있고, 그 외 검사 희망자는 신속항원검사를 받아야 한다. 전국 호흡기전담클리닉이나 진단검사에 참여하는 동네병원에서도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다.
진료 체계도 호흡기전담클리닉과 동네 병·의원 중심으로 전환된다. 코로나19 진료기관으로 지정된 병·의원이나 호흡기전담클리닉은 의심환자 진찰·검사에서부터 먹는치료제 처방, 재택치료 관리까지 원스톱 진료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기본접종을 마친 비율)은 이날 0시 기준 85.7%(누적 4399만6409명)다. 3차 접종은 전체 인구의 53.1%(누적 2725만6749명)가 마쳤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무료슬롯머신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