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커뮤니티 한나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직격탄을 맞아 4분기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전환 했다. 이에 올해 설비투자(캐펙스) 규모를 전년보다 20~30% 축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매출 25조6196억원, 영업이익 5754억원을 달성했다고 24일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은 24.1%, 영업이익은 73.4% 감소했다.
4분기만 놓고 보면 매출은 6조4512억원, 영업이익은 225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4% 감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 4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미국 IRA(Inflation Reduction Act) 세액 공제 금액은 3773억원이다. IRA 세액 공제를 제외한 4분기 영업손실은 6028억원이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 부사장은 실적 설명회를 통해 “한 해 동안 북미 지역 판매는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유럽 시장 역성장, 메탈 가격 약세에 따른 판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사 매출은 전년 대비 24% 감소했다”며 “영업이익의 경우 가동률 저하와 신규 공장 초기 양산에 따른 고정비 부담으로 전년 대비 73%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장·단기 중점 추진 전략도 발표했다. 단기적으로는 시장 변동성 선제적 대응에 집중한다. 생산능력 확대는 보수적인 예측에 기반해 유연하게 조절하고 생산시설 투자 또한 필수적인 투자 이외 시급성이 낮은 투자의 집행 시기는 이연시켜 재무 건전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기존 공장도 최대한 활용해 나간다. 유럽 공장의 운휴라인은 지난해 수주한 LFP 및 고전압 미드니켈(Mid-Ni)과 같은 신규 조성 제품 양산에 활용하고, 중국 공장 또한 원통형 등 표준화 제품의 신규 판매처를 확대해 가동률을 높여 나갈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 펀더멘털 경쟁력 강화 활동도 지속한다. EV 사업에서는 프리미엄 하이니켈(High-Ni) 부터 고전압 미드니켈 및 LFP 등 중저가 제품까지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ESS 사업에서도 고용량 LFP 셀과 SI 역량을 기반으로 부가가치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나아가 올해 매출은 5~10%의 성장을 목표한다고 밝혔다. 메탈 가격 하향 안정화로 배터리 가격 상승은 제한적이나 스텔란티스 JV· 혼다 JV 등 신규 공장가동과 46시리즈 등 고부가가치 신제품 출시가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생산시설 투자는 신증설 투자 속도를 조절하고 기존 생산 거점 활용도를 높여 전년 대비 20~30% 축소하여 집행할 계획이다. 올해 IRA Tax Credit 수혜 규모는 북미 신거점 가동 시작 등에 따라 전년 대비 40% 증가한 45~50GWh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커뮤니티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