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다운로드 김상일 기자] 전라남도가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라남도는 18일 도청에서 시군, 한국전력, 환경단체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단거리 갯벌 구간 내 가공선로 횡단 시 환경영향 검토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 보고회에서는 해저 송전선로와 가공 송전선로의 환경영향을 비교 분석하고,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회에서는 △해저 송전선로 설치 시 환경영향 및 사고 위험성 △해저 케이블이 갯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한 제언 등의 용역 결과가 발표됐다. 해저 송전선로는 공사 기간이 길고, 갯벌 생태계에 미치는 물리적·생물학적 교란이 크며, 시공 과정에서 상당한 면적의 갯벌을 파괴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지적됐다. 특히 갯벌을 파헤쳐야 하는 해저 송전선로는 복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수심이 얕고 암초가 많은 신안 일대에서는 선박 사고 위험성도 크다는 문제점이 부각되었다.
이에 반해, 가공선로는 송전선로의 유지보수 비용이 낮고, 갯벌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실제로 전남도는 지난해 5월 환경단체와의 협의를 통해 해저 송전선로의 설치가 갯벌 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설명하며, 가공선로 설치가 더 유리하다는 공감을 얻은 바 있다.
전라남도는 현재 시행 중인 ‘습지보전법 시행령’이 습지보호구역 내에서 해저 송전선로만 허용하고 있어, 신안 1단계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전력계통 구축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가공선로도 설치할 수 있도록 법령 개정을 지속해서 건의해 왔다. 그 결과, 지난해 11월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정부는 관련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번 연구용역 결과는 이러한 정부의 결정에 힘을 실어주었으며, 전남도는 환경부, 해양수산부, 국가유산청 등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2025년 상반기까지 법령 개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안 갯벌은 현재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보호지역으로, 전남도는 갯벌 생태계를 보호하면서도 해상풍력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이번 연구용역에서는 송전선로 관리 조례 제정을 통해 송전선로 관리협의회를 구성하고, 사후 모니터링과 생태계 영향 저감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제언도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갯벌의 생태적 가치를 보호하면서도 지속 가능한 해상풍력발전이 가능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에 있어 걸림돌이었던 습지보전법 시행령 개정에 한 발짝 다가섰다”며 “앞으로도 해상풍력 추진에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문제를 하나씩 풀어가며 지속적으로 전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다운로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