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황재희 기자] SK텔레콤(SKT)이 미·일·유럽 기업과 함께 인공지능(AI) 활용한6G 핵심 기술 개발과 개념 검증을 마쳤다. SKT는 향후 개발 협력을 통해 무선 통신 기술 고도화를 꾀할 방침이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순위 황재희 기자] SK텔레콤(SKT)이 향후 6G를 위한 기지국 무선 송수신 기술을 개발하고 개념검증까지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기술은 기지국 무선 송수신 기술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해 개발했다. 비전 AI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AI 모델을 기지국의 변복조 송수신 기술에 적용했다. 이를 위해 SKT는 NTT도코모·NTT·노키아 벨연구소와 협력했다.
4사는 연구소 내 채널 에뮬레이터 환경뿐 아니라 실제 무선(OTA·Over-the-Air) 환경에서도 관련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실 환경에서 AI 기반 기지국 변복조 송수신 기술을 적용한 결과, 평균 10% 이상의 속도 향상을 확인했다.
기존 시스템은 송수신기간 무선 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별도의 제어 신호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번에 AI 기반 변복조 송수신 기술을 적용해 제어 신호 부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주파수 이용 효율을 개선했다는 설명이다.
앞서 SKT는 지난 2022년 일본 NTT도코모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후 6G 기술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번 6G 핵심 기술 개발 역시 NTT와 노키아 벨연구소를 포함한 4개사 협력 체계를 구축해 빠른 시기에 소기의 성과를 창출할 수 있었다.
6G 시뮬레이터 등 해당 기술은 오는 26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24에서도 공동 전시할 예정이다.
SKT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이번 기술 개발은 6G 핵심 기술 개발 협력의 신호탄이자 한·미·일·유럽 기업이 힘을 모은 민간협력 사례”라며 "앞으로도 4사간 협업을 통해 AI 기반 무선 송수신 기술의 사용 사례를 지속 연구하겠다"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순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