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황재희 기자] LG유플러스가 휴대용 보조배터리 수거 캠페인을 전개한다. 보조배터리의 올바른 수거 문화를 정착해 화재 위험, 환경 오염 같은 2차 피해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방침이다.
[딜사이트경제클래식 슬롯머신 무료게임 황재희 기자] LG유플러스는 사단법인 한국전지재활용협회와 함께 휴대용 보조배터리 수거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10일 밝혔다.
오는 3월8일까지 전국에 위치한 30개 LGU+직영매장과 사옥에 배터리 수거함을 운영해 임직원들과 고객들에게 보조배터리를 분리해 배출할 수 있도록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가입한 통신사에 관계 없이 누구나 수거함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다.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로 스마트폰 사용이 늘어나며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배터리의 특성상 리튬·코발트·니켈·망간·구리 등 경제성이 충분한 금속물질로 제조, 재활용 가치가 충분한데 제대로 분리 배출되지 못해 버려지는 추세다.
실제로 스마트폰 등장 이후 지난 2010년부터 국내 시장에 판매된 보조배터리는 600만개(1122톤)에 달한다. 반면 지난 2022년까지 사용후 수거된 폐보조배터리는 약 11만4000개로 21톤에 불과하다. 국내 판매된 보조배터리의 약 1.8%만 수거되고 나머지는 버려진 셈이다.
이같은 상황은 보조배터리 생산자에게도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 한국전지재활용협회에 따르면, 전지 생산자나 수입업자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를 통해 재활용의무가 부여된다. 다만 보조배터리는 이러한 의무에서 제외돼 규제 사각지대가 존재해왔다.
특히 보조배터리의 분리배출이 중요한 이유는 화재 위험성이 있어서다. 폐전지 수거함 등을 이용해 올바로 분리되지 않을 경우 각종 사고나 2차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어 생산자 뿐 아니라 이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자원순환 캠페인의 일환으로 스마트폰과 관련이 높은 폐보조배터리 수거를 기획했다”며 “임직원뿐 아니라 고객들도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확대했다"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클래식 슬롯머신 무료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