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 LG유플러스가 전시관·미술관 등 각종 문화시설 전용 솔루션을 출시했다.
[변윤재 기자] 23일 LG유플러스는 인공지능(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관람객의 관심사와 패턴을 분석하는 솔루션, 컬쳐플러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컬쳐플러스는 AI 분석 기술과 통신 데이터를 활용해 문화시설을 관람객들의 패턴을 분석, 제공한다. 문화시설 방문객의 관심사와 지역을 분석하는 '방문객 빅데이터 분석', 내부 관람객의 이동과 관람 패턴을 분석하는 '관람객 동선 분석', 전시 관람 고객을 대상으로 비대면 모바일 설문 조사를 통해 만족도를 파악하고 이용 경험을 분석하는 '관람객 설문 조사', 고객의 거주 지역과 관심사, 문화 소비 이력 등을 활용해 고객 맞춤형 전시를 추천하는 '타깃형 고객 마케팅' 등을 제공한다. 이같은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면, 동선 개선이나 콘텐츠 보강 등을 통해 관람 경험을 고도화할 수 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제조·물류업을 비롯,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를 활용한 업무효율화가 보편화되고 있지만,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사례가 많지 않다"며 "각종 문화시설에 맞춤형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해당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컬쳐플러스는 성별·연령·관람빈도 등 유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람객이 전시를 관람하면서 발생하는 동작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동반인과의 관람 행태, 관람객의 반응을 분석해 제공한다. 문화시설은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를 활용해 전시의 성과를 분석하고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개선점을 찾아낼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컬쳐플러스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화 예술 빅데이터 관련 전문 기관과 협업했다. 관람객 동선 분석, 관람객 설문 조사 서비스에는 이보아 중앙대 예술공학부 교수팀이 참여해 빅데이터 분석의 전문성을 높였다.
시범 운영 결과, 컬처플러스는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컬처플러스의 분석 데이터를 활용해 50차례 이상의 문화 행사를 진행했는데, 160만여명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컬쳐플러스 출시에 맞춰 LG유플러스는 독립기념관, 그라운드시소 등 국내 주요 국공립시설, 사설 전시관과 솔루션 활용을 위한 협업을 체결하고, 문화 데이터 분석을 본격화 한다. 향후 문화 시설들과 협업을 확대하고 컬쳐플러스의 데이터 분석 서비스도 늘려 나갈 방침이다. 또 LG유플러스의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데이터 플러스를 통해서도 문화 데이터 분석 자료를 공개, 다양한 문화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성준현 AI·Data Product 담당은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고객의 동선 및 행동 패턴 분석을 제공, 협력사들이 인사이트를 얻고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도록 컬쳐플러스를 개발했다"면서 "다양한 전시관이나 박물관에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 관람객들이 보다 즐겁게 문화생활을 즐김으로써 고객 가치가 혁신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눈으로 시장을 바라봅니다. 딜사이트경제슬롯머신 무료게임 무단전재 배포금지
